"좋은 이론은 변덕을 부리지 않는다."
세계 최고 지성들을 울린
마지막 강의, 마지막 질문
 
1부 사회생활 속에서 행복찾기
1) 내가 앞으로 사회생활을 하면서 성공하고 행복할까?
2부 관계 속에서 행복찾기
2) 배우자, 자식, 친척, 친구들과의 관계가 계속해서 행복의 원천이 될까? 
3부 좋은 삶을 위한 중간평가
3) 나는 성실한 삶을 살고, 감옥에 갈 일이 없을까? 
총 3부 구성에 따라 
질문이 하나씩 던져진다.
 
 
 

 
 
 


 
 
사회,가정 - 관계 - 나
이렇게 총 3개의 연결고리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기업에서 일어나는 일
가정에서 아이들을 양육하는 일
그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의 관계
분별력 갖고 행동하는 지침이 나와있다.
 
기억에 남았던것들
 
아이들에게 도전을 경험할때 같이 있어주기 
아이들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  
이상의 일을 해야한다. 
능력 이론에 따르면 
아이들은 도전를 겪어야 한다.
아이들에게 깊게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한다.
 
 
 
배우자가 당신이 해주기를 바라는 일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한 걸음 더
 
가족, 배우자들에게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하는데 집중해야한다.
그들이 우리에게 이처럼 헌신할
기회를 똑같이 주는데 주저해서는 안 된다.
가치 있는 뭔가를 위해 희생하면
더 강하고 깊게 헌신하게 된다.
 
 
 


 
 
인생에서 지금 하는 일보다 중요한게 많다.
 
사회생활도 중요하지만 그곳에 너무 투자하게 되면, 가족이 번창하는데 투자를 하지 못하게 된다.
가족에게 깊은 사랑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일을 맡기 전에 해야 할 것
 
일자리를 새롭게 시작하거나, 맡은 일이 주어질때!
"내가 이 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사실로 판명돼야 할 가정들이 무엇인가?"
어떤 것을 즐기는지, 중요한지,
내가 갖고있는 증거 등 현실적으로 바라보고 본인에게 계속 자문해야한다.
 
 
 


 
 
하버드 대학에서 한 인생학 특강이라, 따분하고, 원칙적인 내용을 할 줄 알았다.
기업을 삶이랑 동일하게 바라보는 방식,
기업사례가 결국은 우리가 살아가는 가정, 대인관계 속에서 일어날 수 밖에 없다는 것,
기업과 삶을 따로 보지 않았다.
성공한 기업사례를 들면서 그게 가정에서 부모가 아이들에게도 적용이 된다.
대인관계속에서 얻는 행복이게 제일 귀한 것 같다.
     
이 3가지 질문을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1) 내가 앞으로 사회생활을 하면서 성공하고 행복할까?
2) 배우자, 자식, 친척, 친구들과의 관계가 계속해서 행복의 원천이 될까? 
3) 나는 성실한 삶을 살고, 감옥에 갈 일이 없을까?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