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버스 - 세상을 바꾼 다섯 개의 수
EBS <넘버스> 제작팀 지음, 김홍종 감수, EBS MEDIA / 민음인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민음인에서 서평단으로 뽑혀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좋은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수학을 이해해야 한다.

그 이유는 수학은 보이지 않는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살아 있는 생명의 언어이기 떄문이다.


이게 무슨 소리지? 라고 궁금해 할 사람들을 위한 책이 나왔다.

"넘버스"

EBS 다큐프라임 5부작 넘버스를 한 권 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교양 수학서적을 읽고 싶은 마음에 가볍게 신청했는데,

왠걸 연필들고 밑줄 그어가면서 보게 된 책이다.


중, 고등학교 시절 나를 내내 괴롭혔던


원주율 파이, 무한대 인피니티, 방정식 미지수 엑스, 당연하게 쓰여왔던 제로, 그리고 허수 i

이렇게 5개의 숫자가 탄생하기 까지의 에피소드와 각 수가 가진 의미에 대해 나름 쉽게(?) 알려주고 있다.


읽는 내내 나의 수에 대한 나의 무식함과 편협함에 잔잔한 충격을 너무 많이 받아서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굉장히 좌절감에 빠졌다.


원이 무수한 정사각형의 쪼갬으로 이루어졌다는 걸 원주율 역사를 보고 알았고

원과 정사각형의 관계를 연구하면서 파이가 탄생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리고 파이가 초월수로 불린다는 사실도.. (와 나 진심 멍청한거 아닌가)


지금은 당연히 쓰이는 무한대 역시 처음 밝혀질 때에는 신의 영역을 건들인 수준의 충격이었다는 것도

굉장히 재미있는 부분이었다. 


(사실 뒤로 갈 수록 조금은 복잡해지고 어려워져서 다큐 프라임 재방송을 챙겨보면서 이해하려 노력했다. ^^;; 이놈의 난독증)


그리고 방정식, 제로, 허수i 까지 가면서 각 숫자의 발상지도 다양한 곳에서 왔고,

다양한 천재들 사상가들을 거쳐 발전하는 에피소드들을 보면서 

이름으로 혹은 공식으로만 알고 있던 수학자들을 다시 알게 되는 재미도 있었다.



사실 이 책을 보면서 수가 굉장히 문학적이라고 느꼈는데  그 이유는 서문에 있다.


"세상은 수학이라는 언어로 쓰여 있습니다.

물리의 기본을 표현하려면 수학적 아이디어와 수학 개념, 수학 공식, 수학 이론을 사용해야 합니다.

세상의 근원에 대해 깊이 알고자 할 때, 우리는 수학 없이 어떤 것도 할 수 없습니다.


여때까지 수학은 내 생활에서 애써 뒤로 밀어놓았던 아픈 부부분 이었다.

학원과 학습지에 그렇게 돈을 때려 붓고도 결국 수학이 무서워서 전산과로 도망친 전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이 책을 읽게된 시작은

언젠가 학교를가서 수와 마주할 아이에게 내가 겪었던 슬픔아닌 슬픔을 겪게 하고 싶지 않았기 떄문이다.


그러나 넘버스를의 마지막장에서 서문에서 만났던 펜로즈 박사의 말을 다시 만나는 순간

수능이 끝났다고 불태워 버린 3권의 정석책과

베게 대신 사용했던 대학수학 원서에게 무척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지금 내가 타자를 치고 있는 이 순간에도 나는 계속 수의 세계에서 수로 표현하고 있음을 막연하게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이젠 펜을 들고 가물가물하게 기억나는 수식들을 다시 한 번 써 봐야할 차례인 것 같다.

한 번도 느끼지 못했던 수에게 재미라는 게 들리기 시작했는데.

이 순간을 놓치면 안 될 것 같으니까.


*이 서평은 민음인으로 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좋은책을 만들어 주시고, 읽을 기회를 주신 민음인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