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거울나라의 앨리스 (패브릭 양장) - 1871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루이스 캐럴 지음, 존 테니얼 그림, 손인혜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앨리스는 곧 거울을 통과해서 거울 속 방으로 가볍게 뛰어내렸다. - p. 18 


초판본 붐이 일어나며 각종 고전들을 초판 버전으로 만나볼 수 있어 요즘 얼마나 신나는지 모르겠어요. 아직까지 사랑받고 있는 고전들이기에 이미 다 읽어본 책이지만 다른 번역본으로 읽어볼 수도 있고 무엇보다 초판본 버전이라 소장가치가 좋으니까요! 더스토리의 초판본 고전 시리즈 중 제가 이번에 다시 본 건 거울나라의 앨리스 초호화 패브릭 에디션이예요. 1871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 디자인이라고 하는데 저 이런 금박 먹인 표지 정말 사랑해서 받자마자 마음이 들뜨더라구요.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도 참 좋아하지만 거울나라의 앨리스 또한 좋아하는 이야기인데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6개월 뒤 거울나라로 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요. 아기고양이 키티와 거울 속 세상과 붉은 여왕에 대해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말썽을 타이르던 앨리스가 거울을 통과해서 거울 속 방으로 들어가며 이야기가 시작되죠!





앨리스는 여왕의 명령을 모두 따른 다음, 어디로 가야 할지 자신의 길을 찾지 못해 헤매고 있다고 설명했다. 
"너의 길이라니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구나. 여기 있는 모든 길은 내 길이니라. 그런데 넌 여기에 왜 왔느냐?" - pp. 38-39 

루이스 캐럴의 거울나라의 앨리스는 언어유희적 측면이 강한 환상동화예요. 그래서 번역본으로 보면 이해가 잘 안 가는 점도 많죠. 문화도 다르고... 얼핏 보기에 상식적으로 대화가 되지 않는 등장인물들 덕분에 어리둥절해지는 재미가 있죠. 이건 이 책이 한글로 쓰여진 이야기가 아니라 그런데요. 철자가 다르지만 같은 발음으로 된 다른 단어로 받아들여 대꾸를 한다던지, 한 단어가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던지. 이런 점들에 의해 흥미진진하고 엉뚱한 전개로 이어집니다. 그래서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많은 부분 각주나 미주를 달아놓고 있는데요. 더스토리의 거울나라의 앨리스 초판 패브릭 에디션 양장본도 어느 정도는 각주를 넣어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있더라구요.





그건 아주 쉽단다. 원한다면 하얀 여왕의 졸을 할 수 이어. 릴리는 게임을 하기에 너무 어리니까. 두 번째 칸에서 시작하면 될 거야. 네가 여덟 번째 칸에 도착하면 여왕이 되는 거지. - p. 42 

하지만 그런 언어유희가 전부는 아니죠. 이 거울나라라는 곳도 참 신기한 곳입니다. 거울나라 속 세상이니만큼 글도 반대로 쓰여있구요~ 같은 장소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멈춰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모든 것이 달리는 만큼 자신도 빠르게 달려야 하죠. 오늘은 어제와 내일이 될 수 없고, 사람들은 미래와 과거를 다 기억할 수 있어요. 원인보다 결과가 앞에 있기도 하죠. 체스판에 끼게 되면 졸에서 여왕이 될 수도 있게 되구요. 현실의 상식으로 보지 않고 기이한 이야기를 받아들이려는 마음만 가지고 있다면 굉장히 흥미진진한 환상동화죠.





거울나라에서는 반대로 살아서 그래. 처음에는 누구나 약간 어지러워하곤 하지. - p. 96

루이스 캐럴의 거울나라의 앨리스 초판 패브릭 에디션 양장본에는 여왕들 뿐 아니라 다양한 등장인물이 등장하는데요. 붉은 여왕의 졸이거나 하얀 여왕의 말이기도 한 이들은 동요 마더구즈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캐릭터도 있어 더 흥미롭습니다. 트위틀덤, 트위틀디, 험프티덤프티가 대표적이죠. 마더구즈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진 다른 작품들도 떠올라서 비교하며 보면 더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어요. 거울나라의 거꾸로 법칙과 함께하니 더 시너지가 좋아지는 등장인물들입니다.





말을 바꾸기엔 너무 늦었어. 네가 한 번 말했으면 그걸로 끝이야. 넌 그 결과를 받아들여야 해. - p. 187 

거울나라의 앨리스 초판 패브릭 에디션 양장본은 언어유희적 측면 말고도 철학, 정신분석학 등의 다양한 분야로 분석이 가능한 흥미로운 이야기인데요. 다른 사람들의 시각으로 보는 거울나라의 앨리스를 보고 있으면 이 이야기가 정말 여러가지를 함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죠. 그래서 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은 많은 작품이 나오는 게 아닌가 싶구요. 그냥 생각없이 쭉 읽어도, 특정 측면의 시각으로 읽어도 새롭게 읽을 수 있는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록된 삽화와 함께 오랜만에 읽어도 재미있게 볼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