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 속 전염병 - 왕실의 운명과 백성의 인생을 뒤흔든 치명적인 흔적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역사 속 전염병은 내가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지 하루 전날에 도착한 책이다. 사실 코로나로 날이 흉흉하여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던 것보단, 이 책에 나오는 조선시대 의녀들이 궁금하여 읽고 싶었다. 왜냐하면 의녀 관련하여 글을 써보고 싶어졌기 때문에. 의도야 어찌 되었든, 나는 책을 펼쳐 들어가는 말을 읽을 때 의도치 않게 감동을 받게 되었다. 코로나 때문에 몸이 이곳저곳 쑤셔 종일 누워 있고, 그나마 약 먹은 후에만 조금 괜찮아져 책을 읽을 때, 들어가는 말에 작가 신병주님이 남긴 말을 보았기 때문이다. 이 책이 코로나19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작은 위안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이다.

 

알지 못했던 것을 알아간 시간이었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에만 기록되어 있는 전염병이 2,000여종이라는 것에, 나는 놀랄 수밖에 없었다. 그것을 모두 이겨내어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다는 말이었고. 그것은 곧 코로나19 또한 이처럼 지나가리란 증거가 되어주는 것만 같았으니까. 또한 무엇보다 중간리뷰에 한 번 언급했던 것처럼 의녀에 관한 체제가 조선 초기부터 잡혀 있었단 것이 놀라웠다. 그토록 병에 대한 두려움이 컸나? 싶어서 그런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남의원에게 신체를 보여주는 걸 꺼려하여 병을 숨기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었다. , 유교사상 때문에 어떻게 보면 의녀가 생겨난 것이었다.

 

3부 의녀들의 활동 부분을 읽을 땐 드라마로 유명한 대장금을 예로 들어 주어서 재밌게 읽었다. 뿐만 아니라 성종 시대의 의녀인 장덕과 귀금의 이야기도 있었는데, 충치를 치료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다. 대부분의 사람이 알고 있는 대장금 외에도 조선 후기 의녀들의 이야기가 있다는 점이 사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좋았다.

 

4부부터는 의학서와 홍역, 천연두, 콜레라 등과 같은 전염병의 대표격이라 불리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쭉 뒤따라 온다. 허준이 왜 동의보감을 썼는지, 종두법을 보급한 지석영은 누구인지, 정약용이 어쩌다 홍역에 관한 의서를 쓰게 되었는지, 예방접종 필수인 콜레라가 어쩌다 조선까지 유입되었는지 등. 다양한 전염병과 함께 그 전염병이 남기고 간 상황, 그리고 구호대책을 보여준다.

 

책을 다 읽었더니 어느새 거리 두기가 사라져있었다. 그리고 일주일이 지나 나는 자연스레 격리 해제가 되었다. 아직도 가끔 목이 근질거려 잔기침이 나올 때가 있지만, 몸이 아프진 않다. 내 몸이 코로나에 익숙해졌듯, 이제 밤거리도 다시 전으로 돌아왔다. 아직 거리 두기가 사라진 상황을 직접 두 눈으로 본 적 없지만, SNS에 올라오는 친구들의 상황을 보면 그제야 전으로 돌아왔단 실감이 나기도 한다. 2,000 여종의 전염병을 이겨낸 조선 역사에 이어, 코로나19가 대한민국 역사에 얹어진 오늘날을, 나는 살고 있다. 어쩐지 신기하다. 그리고 또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든 살아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