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홍성욱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STS는 Science, Technology, Society의 앞 글자만 따다 만든 줄임말이다하나의 학문 분야로서 STS는 말 그대로 과학과 기술그리고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이다이 세 가지를 따로따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이 세 가지를 한꺼번에 연구한다과학기술사회를 애초에 분리되지 않는 존재로 바라보는 것이 바로 STS의 기본적인 흐름이기 때문이다그래서 어떤 이는 STS를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의 줄임말로 쓰기도 한다과학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곧 사회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이다나는 대학원에서 과학지식사회학영어로는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SSK)를 공부했는데 이 역시 큰 범주에서 STS에 속한다고 볼 수 있겠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STS는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학문이다더군다나 STS적인 관점으로 사고하고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더욱사람들이 내게 전공을 물어볼 때마다 나는 과학사회학이라고 짧게 말하곤 했는데그 때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의아해 하곤 했다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궁금해 했다는 게 아니라과학을 공부한다는 건지사회를 공부한다는 건지도대체 사회학에 과학이란 글자가 왜 붙는 건지말 그대로 과학사회학이란 말을 의아하게 생각했던 것이다그러면 나는 그저 과학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하는 거에요라며 대충 설명하곤 했다.

 

사실 내 스스로가 STS란 학문을 좋아하고 즐기다보니 사람들에게 내가 공부하는 것을 소개하고 이해시켜주고 싶은 마음은 항상 있었다그러나 늘 그것이 쉽지 않았다물론 스스로가 STS의 초보자로서 남들에게 설명해줄 만큼의 실력이 없기도 하거니와많은 사람들의 경우 과학과 사회가 사실은 구분되지 않는다는 말을 쉽사리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그들이 멍청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구분되지 않는 과학과 사회를 생각해본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에 그것을 상상하는 것 자체가 어려웠다는 이야기다그러면 나는 칸트의 코페루니쿠스적 발상의 전환부터 시작해서 포퍼와 쿤을 거쳐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까지 인용해가며 내가 알고 모르는 과학철학과 과학사회학적 이야기들을 두서없이 꺼내곤 했다.

 

그런데 여기두서 있게 STS를 설명해주는 친절한 입문서가 있다서울대학교의 홍성욱 교수가 쓴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이다나는 이 책이 전공자들을 위한 입문서가 아니라 대중입문서라는 점에서 아주 큰 점수를 준다. STS가 생소할 독자들을 위해 아주 친절하고 재미있게 썼다. STS의 기본개념으로부터 차차 이를 이용한 응용까지 단계별로 소개가 잘 되어있다.

 

 제 1, ‘인간과 비인간은 STS가 가진 가장 독특하고도 새로운 관점을 여러 가지 사례로 설명하고 있다우리가 단지 사물객체로만 여기는 비인간을 하나의 행위자이자 주체로 여기게 될 때우리는 세상을 바라보는 전혀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제 2, ‘네트워크로 보는 테크노사이언스는 바로 그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몇 가지 예를 들고 있다. STS는 인간과 비인간을 동등한 행위자로 여기고각각의 행위자는 그 고유의 본질이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 다른 행위자와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획득하고의미를 변화시킨다고 본다이 점에서 한 행위자와 다른 행위자의 관계가 바로 하나의 네트워크이며과학-기술-사회는 서로 동떨어진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사실은 분리할 수 없는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이다과학과 사회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를 만들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제 3, ‘과학철학적 탐색은 2장에서 보여주는 네트워크의 관계적 속성을 과학철학을 이용해 좀 더 깊은 차원에서 탐구한다이 장에 이르러 독자는 자연스럽게 과학과 세상의 본질에 대하여 깊이 있고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세상이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네트워크로서 만들어지는 것이라면우리가 네트워크를 바꿔볼 수도 있지 않을까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그리하여 제 4,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서는 우리가 어떤 과학기술사회를 만들어나갈 것인지다른 말로 어떤 세상을 만들 것인지를 생각하게 된다이 세상을 바꿔나갈 가능성을 엿보게 된다.

 

이처럼 짜임이 좋게 쓰였기 때문에또 정말 많은 예를 통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기 때문에 독자는 자연스레 STS의 시선을 이해하고 그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사실 나는 이 책에서 제시되는 하나하나의 예들이 너무나 재미있었다같은 분야를 전공한 나로서는 필요에 따라 알맞게 과학사과학철학과학사회학적 정보와 지식이 교차할 때마다 필자의 해박함을 부러워하기도 했다그래서인지 책의 말미에 붙여놓은 참고문헌 목록을 계속해서 들쳐보며 내가 읽어야 할 자료들을 모으는 재미도 쏠쏠했다마치 한 학기 대학 수업을 들은 느낌.

 

대중입문서이지만 학사석사정도의 전공자라도 STS의 흐름을 개괄하고 풍성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한번쯤 이 책을 읽어볼 만하다고 여겨진다나는 앞으로 과학사회학이 뭔지 묻는 친구에게 이 책을 보라고 권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