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번째 내가 죽던 날
로렌 올리버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4.4
얼마 전 영화 소개 프로그램을 보다가 타임루프에 걸려 죽음을 반복하는 `일곱 번째 내가 죽던 날`이라는 영화를 접했고 재밌겠다 싶어 제목을 기억해뒀었다.
아직 영화를 보진 못했지만 동명의 소설을 발견하고 반갑게 빌려왔다.

주인공 사만사는 린지, 엘로디, 앨리와 함께 학교에서 인기인으로 통한다.
린지는 우리나라로 치면 일진 같은, bitch의 이미지로 선배에게도 거침없고 마음에 안드는 아이를 따돌리는 데 앞장선다.
그만큼 파급력 있고 또래에게는 매력적인 인물인데 그런 린지가 사만사에게 말을 걸어주면서 사만사는 원 밖의 계급에서 원 안의 인기인으로 거듭났고 린지와 어울리며 행복함을 느낀다.
주인공 무리가 따돌리는 인물은 줄리엣으로 귀신처럼 긴 머리를 늘어뜨려 얼굴을 가리고 다니며 가까이 가면 구린내가 난다는 소문 때문에 전교생이 가까이하지 않는데 린지들만이 그녀가 지나갈 때마다 사이크스라는 성을 따 싸이코라고 부르고 영화 싸이코의 장면을 흉내내며 놀린다.
또한 마음에 드는 인물에게 장미를 주는 큐피트데이에 매년 줄리엣에게 장미를 선물하며 `내년엔 어쩌면. 아닐지도 모르지만`이라는 메모를 남긴다.

2월 12일 큐피트데이 당일 사만사는 남자친구 롭과 특별한 밤을 보내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저녁을 기대하며 하루를 시작한다.
네 명은 큐피트데이에 흔히 그렇듯 똑같은 옷으로 맞춰입고 린지의 차를 타고 등교했고 사만사는 화학 쪽지시험에서 로렌의 답을 베꼈고 수학 시간 잘생긴 데임러 선생님께 추파를 날렸으며 천사분장을 한 2학년에게서 소꿉친구였던 켄트의 아름다운 장미를 건네받고 식당에서 점심을 먹던 중 지나가던 줄리엣을 놀렸고 저녁에 열리는 켄트네 파티에 가기로 했다.
린지와 함께 오후 수업을 빼먹고 요거트집으로 가던 길에 안나와 알렉스가 바람피우는 현장을 목격하고 돌아왔고 학교가 마친 뒤 앨리네 집에서 단장을 하고 보드카 한 병을 챙기고 켄트네 집으로 향했다.
약속을 잊은 듯 술에 취한 롭을 보며 실망했고 넷이 모여있다 머리를 묶고 예쁜 얼굴을 드러낸 줄리엣이 다가와 넷에게 못된 년이라고 욕하자 넷은 화를 내며 줄리엣에게 맥주를 부었다.
파티가 끝난 후 린지는 술을 마신 채 운전대를 잡고 사만사는 조수석에 앉았으며 엘로디가 음악을 바꾸라며 아이팟을 들고 앨리와 옥신각신하다 린지가 물고 있던 담배를 허벅지로 떨어트렸던 12시 39분, 무언가와 부딪히며 차는 수풀 속으로 고꾸라지고 사만사는 죽음을 경험한다.
어딘가로 떨어지는 꿈을 꾸던 사만사는 알람 소리에 눈을 뜨고 죽음도 모두 없던 일이 되었고 다시 2월 12일 큐피트데이로 돌아왔음을 알게 된다.

하루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전형적인 타임루프물이다.
그 날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언가를 바꿔보려고도 하고 포기도 해보지만 결국 꿈을 꾸고 난 뒤 사만사는 총 일곱 번의 2월 12일을 맞는다.
십대들의 언어나 은어 같은 게 있음에도 번역은 그럭저럭이라 읽을 만 한데 문제는 가장 중요한 제목이 가장 큰 오역이라는 점이다.
일곱 번의 큐피트데이에서 사만사가 죽음을 맞이한 건 처음 두 번 뿐이고 그 외 친구들의 죽음을 목격하거나 줄리엣의 자살 소식을 듣거나 줄리엣의 죽음을 막지 못한 적은 있었지만 꼭 죽어서 하루가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
제목 자체는 괜찮아서 영화에도 똑같은 제목을 쓴 것은 좋은데 총 일곱 번의 타임루프도 어찌 보면 스포일러고 사만사는 일곱 번 죽지도 않았다.
원제인 `Before I Fall`은 죽음보다 2월 12일로 돌아갈 때 꾸는 떨어지는 꿈을 나타내고 떨어지기 전 자신이 보낸 하루를 뜻하는 제목이라 훨씬 와닿는다.

제목은 둘째 치고 캐릭터도 사실 따지고 보면 가해자이기 때문에 좋아할 수 없는 인물이다.
하지만 사만사에게 린지는 정말 소중했기에 린지가 숨기고 있던 추악한 진실이 자신이 품고 있던 그 마음과 동일한 걸 알고 결국은 이해하고 포용한다.
사만사는 결국 자신의 잘못을 느끼고 사죄했지만 사만사의 이야기는 그것으로 끝이기에 과연 린지들이 어떤 마음으로 살아갈지는 열린 결말로 느껴진다.
가해자의 입장에서 쓰여지긴 했지만 왕따와 사춘기 시절의 방황, 열등감, 불안함, 숨기고 싶은 비밀 같은 것들이 너무나도 잘 드러나서 비록 국가는 다르지만 공감하게 된다.
또한 주인공이 타임루프에 쉽게 적응해 여러 가지 상황을 조작해 매일을 다른 방식으로 변화시켜서 좋았다.
그리 긍정적이거나 총명하고 용기있는 성격은 아닌 듯한데도 자신의 인생만을 구하는 일이 아니라는 걸 깨닫고 행동하는 점이 마음에 든다.
책을 보고 영화보는 걸 더 좋아해서 책을 먼저 읽기로 했는데 장면들이 영화로는 어떻게 그려졌을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