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의 이자벨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살의 샘은 하버드 로스쿨 진학을 앞두고 특별히 할 일이나 계획 없이 파리에 도착한다. 언제나 애정에 목마른 샘은 서점에서 자신보다 15살이나 많은 이자벨을 본 순간 첫눈에 반한다. 이자벨을 처음 봤을 때 연약하다, 아름답다, 반했다는 생각과 그녀의 빌어먹을 결혼반지라는 생각이 들었던 샘은 이자벨의 초대로 일주일에 두 번 그녀의 작업실에서 오후 5시부터 7까지 두 시간 동안 사랑을 나눈다.

 

유부녀인 이자벨은 자신의 가정을 깨지 않고 샘과 사랑을 나누려하는 자유로운 프랑스식 연애 방식을 소유했다. 반면 샘은 사랑의 완성은 가정을 이루는 데 있다고 믿는 미국식 사고가 지배적이다. 더글라스 케네디는 이러한 프랑스와 미국의 사고의 방식의 차이를 이 작품에서 잘 드러내고 있다. 이자벨은 뭔가 더 필요하다.’고 샘이 주장할 경우 당장 이 관계를 끝낼 수밖에 없다고 하고 이자벨과 관계를 끝내기 원하지 않는 샘은 이자벨의 규칙에 순응한다.

 

당신을 사랑하지만 이제 집으로, 내 남편에게로, 내 아이의 아버지에게로 돌아가야 해.” 이자벨의 결론은 언제나 하나로 귀결되었다(p. 181). 이자벨과 샘과의 만남은 늘 일상과는 거리가 먼 곳에서 이루어졌고, 샘이 바라는 함께 하는 생활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다가 이자벨과 함께 하고 싶던 갈망이 현실로 이루어지려고 하는 순간 샘은 오히려 레베카와 함께 했던 지난 생활이 얼마나 좋았는지 깨닫고 레베카와 결혼한다.

 

레베카와 아이도 낳고 가정을 지키려 했지만 아들, 이던이 뇌수막염 후유증으로 청각 장애를 갖게 되면서 이혼을 하게 된다. 마침 파리 지사 발령을 받아 파리로 온 샘은 12년 만에 이자벨을 만나게 되고 샘은 이자벨이 내세웠던 규칙이 둘의 관계를 이상적으로 만드는 데 유용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된다. ‘결혼이나 동거가 아닌 사랑, 내가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던 심오한 관계, 그러면서도 덧없는 관계(p. 376).’ 이 문장은 둘의 관계를 잘 드러낸다.

 

깊이 사랑하지만 두 사람을 둘러싼 외부의 문제들 때문에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는 둘의 사랑 이야기는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가 떠오르게 했다. 샘이 평생 오후의 이자벨을 꿈꿔왔듯 내가 꿈꾸는 오후의 이자벨은 무엇일지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