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적 고전 살롱 : 가족 기담 - 인간의 본성을 뒤집고 비틀고 꿰뚫는
유광수 지음 / 유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어린 시절 부모나 조부모로부터 듣거나 책을 읽어 옛이야기를 알고 있다. 그 옛이야기에는 효녀나 효부, 열녀, 부모의 자식 사랑 등의 다양한 주제가 등장한다. <문제적 고전 살롱 : 가족 기담(유광수 지음, 유영출판사 출판)>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옛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인간의 본성을 뒤집고 비튼다.

 

본성은 본래부터 타고난 성질 즉 천성을 의미한다. 옛이야기에 드러난 본성이라 봐야 뭘 얼마나 대단할까 생각했지만 이 책은 우리의 옛이야기에 대한 상식을 완전히 뒤집는다. 9가지 주제별로 옛이야기를 통해 내려오는 희생양 메커니즘, 열녀 이데올로기, 처첩의 세계, 가부장의 이중생활, 욕망의 짝패, 무능 열전, 은폐된 패륜, 자식 사랑 패러독스, 가족의 재탄생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이 책을 읽다보면 그동안 내가 너무 아무 생각 없이 책을 읽었나? 하는 반성과 함께 너무 지나치게 비약한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동시에 든다.

 

여자인 나로서는 열녀 이데올로기나 처첩의 세계, 가부장의 이중생활 등의 부분을 읽을 때는 당시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약자의 삶을 살 수 밖에 없었던 여성들의 이야기에 화가 났다. 그런데 작가는 남자들에게만 편리한 세상에 대해 작가가 여성인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여성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갔다. 마치 페미니스트처럼.

 

작가는 옛이야기를 해부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작품의 일부를 실었고, 그 이야기가 현실의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는 지에 대한 고찰도 병행하고 있다. ‘옛이야기는 우리 인생, 우리 삶, 우리 사회가 고스란히 녹아 응축된 거울이다(p. 6).’라는 작가의 말처럼.

 

작가는 마지막 장에서 의미를 부여해야 가족이 된다며 내가 먼저 손을 내밀어 진정한 가족으로 거듭날 것을 이 책을 통해 촉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