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9
박영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MG_1976.jpg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라는 말이 있다. 과거를 모르는 상태에서 미래에서만 잘 살려고 하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역사를 알아야 하는 것이 기본이라는 말이다. 그렇다면 역사에 대해서 가장 쉽고 빠르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아마 일 것이다. 영화나 드라마 같은 경우에는 역사왜곡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시험을 위한 공부로서 접근하는 역사는 단순한 암기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제목만 들어도 모두가 알 만한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이 시리즈의 저자 박영규가 <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으로 돌아왔다. 특히 이 작품은 200만 독자를 사로잡은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세종대왕, 대한민국 대통령까지 한반도의 모든 역사를 되짚는 실록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이라는 것에 의의가 크다.
 이 책은 1870년대 개항기부터 1940년대 민족 분단까지, 우리 역사의 '아픈 손가락'인 일제강점 시대를 지배와 저항이라는 이분적인 논리에 한정하지 않고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물론 이분적인 논리라는 단어를 쓰는 것에 굉장히 조심스럽다. 얼마 전 개봉한 영화 <군함도>에서 감독 류승완은 "그 시대에 나쁜 일본인들만 조선 일본인들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분법으로 접근해 관객들을 자극시키는 방식은 (역사를) 왜곡하기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했다."라고 한 인터뷰가 큰 논란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 박영규가 쓴 <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기본적으로 검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책은 부록 부분까지 합하여 총 367 페이지이다. 엄청난 두께에 선뜻 읽어보기 겁날 수 있지만 전혀 어렵지 않다. 오히려 알차게 역사를 배울 수 있고 일제강점 시대를 완벽하게 담고 있기 때문에 그 시대를 단 한 권의 책으로 섭렵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더욱 적절한 책이다.
 들어가는 말에서 박영규는 일제강점 시대에 대한 한국인들의 대중적인 반응을 언급한다. 특히 그 시대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말한 것이 인상깊었다. 그의 말이 맞다. 한국인들은 집단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극복하려면 무엇보다도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체적인 구성은 우리가 알아야 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주요 사건들을 10년 단위로 정리하여 새로운 이야깃거리를 던져주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대표적으로 수천 명의 한국인 독립 군단이 러시아군에 의해 와해된 자유시참변을 비롯해, 일제의 허위 보도로 만주 한국인들이 중국인들을 공격한 완바오산(만보산)사건, 제주 해녀들의 경찰 주재소 습격 사건 등은 독립 운동사 중심의 역사서에서는 만나기 어려웠던 이야기이다. 나 역시 이러한 사건들을 대학에 진학한 후, 일제강점기 시대의 문학을 공부할 때에나 알게 되었다.
 <밀정>, <군함도>, <암살>, <박열>, <동주> 등의 영화들이 잇다라 개봉하면서 어느 때보다 일제강점 시대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졌다. <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은 정치, 경제부터 문화까지 일제강점 시대에 대한 모든 것을 담은 단 한 권으로 담았다. 굳이 여러 책을 읽는 것보단 한 권으로 그 시대를 더욱 깊이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지금은 광복 72주년이다. 수치와 고난의 역사로만 기억돼 사람들을 분노케했던 일제강점 시대를 이 책으로 좀 더 새롭게 바라보는 것은 어떤가.

일제강점실록,한권으로읽는일제강점실록,웅진지식하우스,박영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