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릿광대 매우씨와 웃대패 악사들
송혜진 글, 이문주.엄유정 그림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들은 클래식에는 많이 익숙해있지만

우리 음악 우리 노래인 국악은 많이 낯설다.

"엄마, 이거 무슨 소리에요? 웃겨요."

우리 소리를 처음 들은 우리 딸은 시디에서 나오는 경기 명창 이희문님의 소리가 재미있었나보다.

연달아 두 번을 들었다.

 

한울림 어린이 출판사에서 나온 <어릿광대 매우씨와 웃대패 악사들>에는 무형문화제 제 5호 경기 12잡가 이수자인 경기 명창 이희문의 소리와 노래 오디오 시디가 함께 들어있다.

책을 먼저 읽어줄까 

소리를 먼저 들어줄까

고민을 하다가 소리를 먼저 들려주었다.

그림책을 보지 않고 소리를 먼저 들어서인지

처음 듣는 이야기에 집중했다.


그리고 나서 함께 읽은 책

그림이 웃겨서인지

아니면 소리로 들은 이야기가 웃겨서인지

책을 보자마자 킥킥거리며 웃었다.


우리가 자주 읽던 책과 아마 삽화가 다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동화를 쓴 작가 송혜진은 서울대학교 음대 국악과를 나왔으며 한국최초의 가야금 오케스트라인 숙명 가야금 연주간을 이끌며 어린들이 우리 엣 문화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찾을 수 있는 공연을 기획하는데 많은 힘을 쏟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림자 소리극 <가야금 톡톡 매우 매우씨>를 그림책으로 재구하여 펴 낸 것이 바로

<어릿광대 매우씨와 웃대패 악사들>이다.


그림을 그린 이문주님 또한 스튜디오 슈풍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단편 애니메이션 <어릿광대 매우 매우씨>를 제작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동화책을 읽는대도 한 편의 판소리를 듣는 듯한 혹은 우리 옛이야기를 듣는 듯한 생각이 들었다.

"엄마, 이거 산토끼 간다, 죽은 토끼 간다~~~하고 비슷해."

(우리 딸이  말하는 산토끼 간다, 죽은 토끼간다는 호롱불 이야기 <토끼의 간> 을 말한다.

이 전래동화는 할머니가 이야기해 주듯이 적혀있다.)

 

 

옛날 옛날에 임금님이 사는 경복궁 서쪽, 서촌의 웃대 마을에 놀기 잘 하고 소리 잘 하고 악기 연주도 잘 하는 이들이 살고 있었다.

사람들은 그 아이를 뭐든지 매우 잘 한다고 하여 어릿광대 매우씨라 불렀다.

웃대마을에 악기를 멋지게 연주하는 악사들도 있었으니 가야금 악사, 피리 악사, 해금 악사, 장구 악사가 바로 그들인데 웃대패라고 한다.

무대는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어울어서 신명나게 노는 것인데

매우씨는 무대에서 자기만 톡톡 튀었다.

매우씨의 가장 큰 문제는 너무 잘 난 척을 한다는 것이다.

 

 

 

어느 날, 임금님이 인왕산에 행차했다가 돌아가는 길에 웃대마을에 들러 성대한 잔치를 벌였다.

임금은 매우씨와 웃대패를 불렀고

역시나 매우씨는 혼자서 무대에서 톡톡 튀었다.


예능의 신 창부씨가 명인으로 키우기 위해서 매우씨에게 남다른 재주를 준 것인데. 명인은 커녕 사람 구실도 못 할 것 같아서 그의 능력을 빼앗았다.

이제 소리도 잃고 악기도 잃은 매우씨, 과연 그의 운명은?

 

 

 

 이 책에 뒤에는 남사당 놀이와 우리 악기에 대한 이야기도 실러있다.


뭐든지 혼자서 잘 한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함께 어울러야된다는 것을

우리의 음악으로 들려주는 멋진 우리국악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