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1 고양이 시리즈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들도 인간에 불과하죠?



인간들도 바스테트(고양이)처럼 스트레스를 털어내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몸을 한 번 세게 털고 나서 뒷다리를 치켜들고 몸을 구석구석 핥아 쌓인 스트레스를 털어 내는 것처럼 인간들도 자고 일어나 기지개를 쭉 펴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를 풀 수 있다면 참으로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은 어쩌면 인간들도 그만큼 단순한 동물과 다름없으리라.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작 <행성>은 쥐들에게 그들의 터전을 잃고 살아남기 위해서 유럽을 떠나 미국으로 향한 고양이 바스테트와 인간들 그리고 그 밖의 동물들이 뉴욕이라는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해 쥐들과의 최후의 결전을 그린다. 대서양을 건너 온 바스테트와 그의 일행들을 맞이하는 것은 바로 그들의 적들인 쥐들이다. 뉴욕에서의 첫 싸움은 많은 것을 희생으로 하는 생존이었다. 남은 생존자들은 미국의 고층 빌딩에서 살아가는 인간들과 함께 쥐들에게 대적하기로 하지만...


빌딩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과 바스테트의 모습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들이다. 자기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얼마든지 시각을 확장할 마음의 준비가 돼 있다고 하는 바스테트의 마음이 바로 이어지지 않는 것처럼 인간들도 자신에게 사건이라 부를 만한 것들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자신이라는 아집에서 벗어나기는 힘들다. 그런 아집들이 인간들을 무리 짓게 만들며, 자기 부족의 이익을 위해서라기보다는 자신들과는 다른 부족들에게 배척을 가하게 된다. 인간들이 만들어 낸 다수결이라는 방법은 과연 모든 부족들에게 이로운 것일까라는 의문이 드는 이유는 아마도 다수결이 인간들이 만들어 낸 제도이기 때문 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차별로 이어지는 것이 아닐까?


어떻게든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그들 앞에 있는 것은 통합이나 화합이 아닌 분열이 먼저 앞서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들이 태반이다. 바스테트 또한 자신의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는 듯 보이지만, 그런 모습들이 <행성>의 마지막에는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궁금하다. 그리고 에드몽 웰즈의 후손인 로망 웰즈와 나탈리의 2세는 과연 그만의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을 이어갈 수 있을까?


<행성>의 또 다른 재미는 바스테트가 어렸을 적에 어머니가 해준 말들을 회상하는 장면들이다. 그것은 어쩌면 인간들도 알고 있는 속담들처럼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들이지만,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 꽤 힘들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준다. 그리고 이야기 중간중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의 내용들은 <행성>이란 작품의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준다.


과연 바스테트는 1권에서 보여지는 모습과는 달리 각성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 그리고 그들은 그들만의 행성을 지킬 수 있을까?


리딩 투데이 지원 도서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 #신간살롱 #열린책들 #베르나르베르베르 #전미연 #고양이 #문명 #신간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