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턴의 그리스로마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13
이디스 해밀턴 지음, 서미석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80년간 전 세계 수백만 독자의 사랑을 받은 불멸의 스테디셀러인 그리스 로마 신화 중에서 최고의 작품만을 엄선해 담아낸 그리스 로마 신화이다. 또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20세기까지의 예술가들이 그리스 로마 신화를 주제로 만들어낸 회화 및 조각 작품 100여 점을 컬러 도판을 포함한 전면 개정판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 처음 접한 그리스 로마 신화는 등장인물들의 이름부터 따라가기 힘들었지만, 읽어갈수록 쉽게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현대 지성 클래식이라는 믿을만한 개정판이 아니었을까?


올림포스의 12명의 신은 인간들이 만들어낸 존재들이다. 그리스인들의 의인화된 신들은 인간들에게 '신화는 더 이상의 판타지가 아닌 과학을 선물해 주었다. 점성술이 더 이상 미신이 아닌 과학의 한 분야인 천문학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처럼 말이다.


올림포스의 12명의 신들에 관한 이야기들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비현실적인 내용으로 비칠지 모르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인간의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은 물론 새로운 세계 또는 새로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창의성을 선물한다.


지상의 위대한 두 신중의 하나인 디오니소스는 바쿠스라고 불리는 포도주의 신이다. 사연 없는 사람이 없는 것처럼 신들에게도 각자의 사연이 있다. 또한 인간과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그들에게도 참을 수 없는 분노와 증오 그리고 질투가 존재한다.


디오니소스에 대한 양면성과 술은 우리 인간들의 삶을 정확하게 지적하는 듯하다.

한 잔의 술을 통해서 우리는 잠시나마 근심 걱정을 잊을 수 있게도 하지만, 과하게 되면 마치 신이 된 것처럼 행동하는 우리들을 바라보게 된다. 인간의 탐욕은 끝이 없는 것이겠지만 자신에게 맞는 탐욕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트로이 전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을까?


2004년에 개봉된 브래드 피트 주연의 '트로이'가 전부다. 시간이 너무나 지나서 영화의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그리스 로마 신화가 전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고치지 않았을까?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전하는 트로이 전쟁에 관한 이야기들 속에는 신들의 개입이 치열하게 그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결국 전쟁의 끝을 결정짓는 것은 인간의 몫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죽음이라는 것이 결코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숙명이라는 것도.


그렇지만 죽음이라는 숙명에서 인간은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비록 죽음을 예견할지라도 인간은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새로운 시대를 열어간다.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도 인간은 조금 더 나은 세상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며, 우주를 창조한 것은 신이 아니라 신도 우주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생각하는

그리스인들처럼 세상의 중심은 인간임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리딩 투데이 지원 도서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 #지성감천 #해밀턴의그리스로마신화 #이디스해밀턴 #서미석 #현대지성 #현대지성클래식13 #그리스로마신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