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lue Day Book 누구에게나 우울한 날은 있다 블루 데이 북 The Blue Day Book 시리즈
브래들리 트레버 그리브 지음, 신현림 옮김 / 바다출판사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울한 날 보면 가끔은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은 언제나 금요일은 아니지
호어스트 에버스 지음, 김혜은 옮김 / 좋은책만들기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친구 생일 선물로 '스노우 캣'을 보내줬더니 '나같다'고 했다.

흠~ 그리고 이 책에 나오는 호어스트도 일부 '나같다.'

그래!

나 게으르고 심드렁하고 매사에 의욕이 없으며 나태하고 쓸데없는 일에 태평해서

심지어 이러한 것들을 즐기기까지 한다.

그게 뭐 어때서.

세상이 언제나 금요일은 아니고 심지어 금요일이 없을때도 있지만 

내가 매일 금요일처럼 살면 되지. 

메~롱이다. 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타민 F
시게마쯔 키요시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을 보라. 얼마나 상큼한가?
그러나 제목만 그렇더라.

그런데 비타민 F라는게 있던가? A, B, C, D, E까지는 들어본 것 같은데...

 

 

 

 

<이 미지의 비타민 F에 대해서>

 

* 맛 :  매우 시고 쓰며 심지어는 불쾌하기까지 함.

 

* 구성 성분 : Family, Father, Friend, Fight, Fragile, Fortune

 

* 효능 : 잘 살펴보면 우리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정신 건강에 도움(?)이라기 보다는 순화(?) 이것도 아니고...어찌되었든 잊고 있었던 중요한 것들을 다시 깨우치게 하며 감동을 동반한 눈물로서 묵은 찌꺼기들을 배출토록 도와줌.

 

* 부작용 : 다량 섭취하거나 잘못 복용하였을 경우 사람에 따라 우울증, 난폭증, 자포자기증, 체념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알려진 치료책은 없으니 사전에 주의요.

 

* 주의사항 : 어린이가 섭취하였을 경우 1회 복용했을 경우라도 위에서 말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 사춘기 까지는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길 바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채지충 글.그림, 정영문 옮김 / 창해 / 2001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어느 누구도 우리를 평범한 존재로 만들 수 없다. 
 
우리가 찬성하지 않는다면 어느 누구도 우리를 바보 취급할 수 없다.

우리가 원하지 않는다면 어느 누구도 우리를 실패의 길로 내몰 수 없다.
 

-내가 맡은 일을 잘 해낸다

-내가 원하는 방식을 스스로 선택한다

-내가 가장 잘하고 좋아하는 일을 한다(내가 1m30cm밖에 뛸 수 없는데 3m위의 먹이를 노리는 것은 바보같은 짓이다.-매우 공감. 그런데 사람들은 왜 3m의 먹이를 노리라고 하는지... 설령 불가능에 가가까운 노력이나 우연으로 성공했다손 치더라도 몸이 망가질대로 망가져 먹이에서 오는 본능적인 만족감조차 느낄 수 없다면 무슨 소용이람?)

이것이 바로 고양이의 본성이다.

-[고양이라면 어떻게 했을까?-1장 고양이의 본성] 중에서-

 

조용히 침묵하고 있다가 먹이를 잡을 때만 재빠르며 유연하고 게으르며 나태하나 우아한 고양이.

그러나 능력이 있어야만 마음껏 그르렁거리며 하품을 할 수 있다니

그냥 '개'로서 만족하면서 살아도 되지 않을까? 능력을 갖출 수 없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뭘 하고 싶은지 알고 싶어? 내가 뭐가 되고 싶은지 말해 줄까? 만약 내가 그놈의 선택이라는 걸 할 수 있다면 말이야>
<뭔데? 말 좀 곱게 하라니까>

<너 '호밀밭을 지나가는 사람을 붙잡는다면'이라는 노래 알지? 내가 되고 싶은 건......>

<그 노래는 '호밀밭을 걸어오는 누군가와 만난다면'이야> 피비가 말했다.

<그건 시야. 로버트 번스가 쓴 거잖아>

<로버트 번스의 시라는 것쯤은 나도 알고 있어>

 

그렇지만 피비가 옳았다. <호밀 밭을 걸어오는 누군가와 만난다면>이 맞다. 사실 난 그 시를 잘 모르고 있었다.

<내가 '잡는다면'으로 잘못 알고 있었나 봐> 나는 말을 이었다. <그건 그렇다치고, 나는 늘 넓은 호밀밭에서 꼬마들이 재미있게 놀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곤 했어. 어린애들만 수천 명이 있을 뿐 주위에 어른이라고는 나밖에 없는 거야. 그리고 난 아득한 절벽 옆에 서 있어. 내가 할 일은 아이들이 절벽으로 떨어질 것 같으면, 재빨리 붙잡아 주는 거야. 애들이란 앞뒤 생각 없이 마구 달리는 법이니까 말이야. 그럴 때 어딘가에서 내가 나타나서는 꼬마가 떨어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거지. 온종일 그 일만 하는 거야. 말하자면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 싶다고나 할까. 바보 같은 얘기라는 건 알고 있어. 하지만 정말 내가 되고 싶은 건 그거야. 바보 같겠지만 말이야.>

-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p229-230)] 중에서 -

 

위 대목은 한 때 내가 삶의 지침서로 삼았던 대목이다. 나도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리라 아니 그래야만 훌륭히 내 일을 해낼 수 있으리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그 때는 왜 몰랐을까? 어린애들만 수천 명이 있다는 건 이미 어른이 되어버린 내게 얼마나 고통스러운 일인지를, 절벽으로 떨어질 순간을 포착하는 일이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더군다나 재빨리 붙잡아 주는 것이란 서둘러 미리 다가가지도 않고 너무 늦지도 않게 꼭 알맞은 순간에 재빨리 붙잡아 주기란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이봐, 홀든. 그래서 자네는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