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아이들
양석일 지음, 김응교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원래 아이들과 연관된 소설, 특별히 아이들의 성장이나 

그들의 고통에 관한 글들에 관심이 많은 나는 새로운 책으로 

뭐가 나왔나 알라딘에서 새 책을 훑어보는 중에 들어온 게 

'어둠의 아이들'이었다. 

   그리고 이 책을 알기 전에 신문에서 곧 영화가 우리 나라에 

상영될 거란 소식에 꼭 봐야지 하고 벼르고 있던 작품이었다. 

 

  문제는 소설이 소설이 아니라 사실보다 더 구체적이고  

더 사실적이라는 것이다. 신랄하게 표현된 그들의 고통, 사춘기 

를 다 겪기도 전에 이미 병들어 버린 몸과 마음, 모두 어른들의 

추악한 욕심 때문이었고, 부조리한 사회 구조 때문이었고, 봐도 

못 본 척, 알아도 모른 척하는 '있는 자'들의 부도덕성과 탐욕, 

이유가 너무나 깊숙히 얽혀 있기에 어디서부터 손을 되어야 할지도 

모르는... 

 

  읽어보지 않고는 모른다. 그 아이들의 고통이 얼마나 처절한지, 

저 소설을 읽고 유럽과 타이, 일본이 동시에 미워졌다. 물론 그건 

비약이지만, 아이들을 성의 노예, 자신들의 성의 노리개로 삼고자 

그 아이들의 몸이 찢어지든, 그 아이들의 영혼이 망가지든 상관없는 

그들에게 분노가 치여 내가 어른인 게 슬펐고, 지금 당장 달려가서 

구해주지 못 하는 게 억울했고, 어떻게 도와줘야 할 지 몰라 먹먹했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눈물이 올라온다. 정말 마음이 아픈 것은 내가 

그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게 이 책을 주위 사람들에게 꼭 읽어 

달라고 소개하고 저 아이들을 위해 기도해달라고 부탁하고 절대로 

저 일을 잊지 말라고 결심하는 것뿐이다. 

 

  이 책은 빌려서가 아니라 꼭 사서 읽으라고 말하고 싶다. 자신의 

돈을 내고 직접 읽고 느끼고 그 아이들을 한 명이라고 덜 죽이기 

위해, 또 희생양이 될 지도 모르는 어떤 아이 한 명이라고 더 구하기 

위해 우리는 절대 잊으면 안 된다! 

 

  ....... 

 

  아이들의 고통이 그대로 드러난 부분, 즉 성의 노예가 된 

아이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부분을 읽을 때는 솔직히 

속이 역겹고 거북해 음식을 먹을 수 없을 정도였다. 책도 

이러한데 영화는 또 어떻게 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저 책을 다 읽고 책의 표지를 봤을 때 마치 책 속에서  

고통당하는 어느 아이가 표지 속에 있는 것 같아, 귀신의 

형상처럼 어둡고 참담한, 아무런 초점도 없이, 아무런 삶의 

희망조차 꿈 꿀 수 없는 모습을 담은 것 같아 바로 보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일. 내가 아무리 울어도,  

외쳐도 그들을 구할 수 없다는 게 정말 말로 하지 못 한다. 

 

  그래도 저들을 위해 애쓰는 어른이 있다는 것에, 자신의 

삶을 온전히 바쳐가며 저들을 사랑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에 

희망을 느낀다! 

 

  들꽃처럼 연약하고 천진난만하고 순수한 아이들을 

짓밟는 어른들의 더러운 세계, 마주 하기는 쉽지 않다. 불편하고 

힘들고 역겹고 어렵다. 그래도 눈 똑바로 뜨고 우린 보고 

느끼고 그래도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세계에서 지진이 일어나면 이제는 아동성매매단들의 활동도 

같이 일어나겠구나 하는 생각에 진저리가 처진다. 끔찍하다. 

 

  부디 영향력있는 사람들, 이 책의 저자와 뜻을 같이 하는  

이들이 점점 많아져서 언젠가는... 정말 언젠가는 아이들의 

눈물이 그치기를 빈다. 

 

  하나님께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