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길들인 풍차소년
윌리엄 캄쾀바, 브라이언 밀러 지음, 김흥숙 옮김 / 서해문집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탤런트 김혜자 씨가 쓴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를   

몇 년 전 읽고 실제로 가보진 못 했지만, 전 세계 곳곳에서 

가슴 아픈 일들이 정말 많이 일어나고 있고, 불행한 아이들이  

실제 존재하며, 그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고통을 당해야만  

한다는 사실에 마음이 아팠다.  

 

  그 책으로 인해 '월드비전'이라는 구호단체를 알게 되었고, 

특별히 아프리카가 낯설지 않은 단어가 되어 버렸다. 

 

  평소 청소년들에 대한 책을 좋아하고 관심이 많은 나는  

'바람을 길들인 풍차소년'이라는 제목을 보고 두 가지에 관심이 갔다. 

소년이 어떻게 바람을 길들인다는 거지? 어른도 아닌 소년이... 

 

  예전 우리나라의 산골처럼 전기도 공급되지 않고-물론 지금도 아프리카 

에는 그런 지역이 훨씬 더 많지만- 그래서 어쩌면 무언가를 만들고 시도하고 

이루어내는 것이 어떤 것인지 꿈조차 꾸지 못 하는 상황에서, 이 특별한  

아이가 일을 꾸미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이 책을 읽고 가슴에 절실히 와닿았던 부분은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는 그 곳에서 가뭄이 들어 옥수수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몇날 며칠 몇달을 

그냥 굶을 수밖에 없고, 우리나라의 보릿고개처럼 식량을 꾸러 다니는 수많은 

사람들과 비싼 돈을 주고 싸움을 해서라도 먹고 살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이 모두 다 꾸밈없는 사실이라는 것이었다. 겪어본 사람만이 알 테고,  

본 사람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일이 마치 주변 동네 

에서 벌어지는 일처럼 그렇게 실감이 났다. 

 

  자신의 가족이나 마찬가지인 개를 더 이상 키울 수 없고, 그 입조차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친구들의 조언을 따라 숲 속으로 들어가 버리고 올 수밖에 없는, 

그 개도 주인의 버림을 알고 끈을 풀려고 애조차 쓰지 않은 채 그냥 죽어간... 

 

  그런 비참한 상황 가운데 이 특별한 보석은 가난해서 학교 수업조차 들을 수 

없지만, 동네 고철을 이용하고, 도서관에서 읽은 책의 지식으로 실험을 해보기 

시작한다.  

 

  내게 가장 와닿았던 구절은  

 

  "난 해보고 만들었어요!" 

 

  이다, 이 아이는 호기심 하나로, 그리고 아프리카에, 자신의 동네에 

무한정 있는 에너지인, 즉 돈이 들지 않는 천연 에너지인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하고, 그래서 옥수수 농사를 여러 번 지어 

식량난을 해소할 생각을 한 것이다. 

 

  굶주림이, 가난이, 고생이 낳은 기적이었다. 누구나 기적의 주인공이 

될 수 있지만 누구나 실천하기는, 내가 먼저 뛰어들기는 쉽지 않다. 

모두가 좌절만 하는 상황에서 자신 혼자서 미쳤다는 소리를 들으며 

노아처럼 구원의 방주를 만든다는 것이 얼마나 고독한 일인지... 

 

  특히 이 책을 청소년들에게 권한다. 그리고 자신만의 이유로  

어둠 속에, 절망 속에 갇혀 있는 모든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 풍차소년처럼 작은 희망의 씨앗을 스스로 심어보자고. 뿌린 대로 

거둔다는 성경말씀처럼 희망을 뿌린 자는 만드시 희망의 열매를 얻을 테니까. 

 

  이 책을 읽고 다른 이에게 주었다. 여러 사람이 읽고 이 감동에, 순수하고 

정직한 이 소년의 노력에 박수를 쳐주길, 또 그 정신을 함께 나누길 바라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