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기에 없었다
안드레아 바츠 지음, 이나경 옮김 / 모모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Oh! Dream] 서포터즈 3기

WE WERE NEVER HERE

『우리는 여기에 없었다』

안드레아 바츠 | 장편소설

스튜디오 오드리(STUDIO : ODR)| 출판 (@studio.odr)(@momo.fiction)


#우리는여기에없었다_무시할수없었고무사할수없었던소설

넷플릭스(Netflix) 영상화 확정 소설


여행+우정+살인+진실. 이 네 가지가 덫이었고, 독자에게 '두려움이 주는 스릴'넘치기에 충분한 에밀리와 크리스틴의 이야기였다.


〔 Q.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요? 당신은 곤란해진 상황입니다. 세상에 하나뿐인 당신의 친한 친구가 죽인 시체를 목격했습니다. 친구를 지키기 위해 공범이 될 것인가요? 신고할 것인가요?

『우리들은 여기에 없었다』〕


왠지 사람을 떠민다는 소설 속 표현에서, 과거에 장난이라는 이름으로 달리는 차도로 신호등에 있었던 날 밀었다가 잡아당겼던 친구가 떠올랐다. 얼굴이 창백해졌던 그날, 친구에게 경악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물론 그 친구와는 관계를 끊었다.

그런 소름 끼치는 우정이 소설 『우리들이 여기에 없었다』를 펼치면서 또 통제할 수 없는 충격을 연속으로 줬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을 읽는 자세는 턱을 괴고 계속 입을 가린 채 깊숙이 빠져들었다. 그녀들이 다녀갔던 캄보디아 프놈펜과 엘퀴 계곡 장면을 읽고 난 후로 의심과 경계심을 끝까지 풀 수 없었다.


'에밀리 도너번'과 '크리스틴 차네키'의 상쾌할 것만 같았던 우정 여행에 평범하지 않은 사건이 끼어들었다. 그녀들은 폭행 당했다. "친구가 사람을 죽였다." 그러면서 그전까지 가지고 있었던 자유를 잃었다. 빠르고 냉정하게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끌어주는 것은 크리스틴이었다. 악인이었던 남자의 죽음을 없었던 일로 만들기 위해 행동한다. 그 비밀을 아는 친구 사이라는 것이 낙인이 되어서 소설에서 내내 에밀리를 쫓아다녔다. 크리스틴은 에밀리의 행복을 빌어주고, 함께 하길 원하며 인생을 응원해 주는 고마운 친구였다.


"그녀들의 시간은 끔찍했고, 살기 위해 싸웠다. 필사적으로 평정심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남자 시체를 아무도 몰랐고, 안전한 도망으로 여겼으며 그들은 일상에 복귀했다. 에밀리와 크리스틴의 남다른 우정에 어두운 미소를 지을 수밖에 없었다. 죽음을 파묻으면서 영영 아무도 모르길 바라며 범죄 사실을 감췄다. 에밀리를 보며 활짝 환한 미소를 지어줬던 크리스틴. 평생 최고의 우정이라고 생각했던 그녀들의 최후는 『우리는 여기에 없었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행 중 본인을 가짜 이름으로 말하고 다니는 그녀들의 은밀한 장난이 범죄 수색에 혼선을 줄 수 있었다는 건 흥미로운 설정이었다.

에밀리와 크리스틴은 소리없는 비명을 지르게 했다. 인상적인 인물은 에밀리를 정상적인 삶을 보내는 일반인으로 보이게 만들어줬던 그녀의 애인'애런'이었다.

_


안드레아 바츠(Andrea Bartz)

: 여성의 내밀한 정서와 본능적인 욕망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독창적으로 풀어내 심리 서스펜스 장르에서 독보적인 영역을 만들어가고 있는 미국 브루클린 출신의 작가 겸 잡지 에디터. 세 번째로 발표한 스릴러 《우리는 여기에 없었다》

_

감사합니다.

WE WERE NEVER HERE.


#우리는여기에없었다 #스릴러소설 #추리소설

#소설추천 #서평단 #모모소설 #모모 #서평 #서포터즈오드림 #오드림서포터즈3기 #스튜디오오드리 #안드레아바츠 #장편소설 #소설 #책추천 #신간도서 #wewereneverhere #fiction​ #넷플릭스 #netflix #넷플릭스소설원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