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0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에서 말하기가 중요하다고 느낀 이유는 플라톤의 저서를 처음 읽었을 때였다. 대화 형식으로  글을 읽다 보면 나의 의견을 어떻게 정리하는지, 상대방의 허점을 어떻게 간파하는지 느껴졌다. 다음으로 읽게  것이 연설문이었다. 전쟁을 앞두고 웅변을 하는 연설가들의 호소는 시대를 뛰어넘었다. 마지막으로 법률가들의 필요였다. 이처럼 말하기는 지식을 향유할 때도, 직업적으로도 그들에게  필요한 도구였을 것이라 추측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는 말할 것이 없다. 현대의 세분화된 학문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길의 초입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나게 된다. 방대한 지식의 범위와 더불어 체계적으로 정리된 저서들은 천재라는 말로도 모자를  하다.  책은 그런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에 관한 책이다. 수사학의 중요성을 강조함과 더불어 저자는 세세하게 항목을 나누어 수사학에 대해 가르친다.

 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은 우선 1장에서 수사학이란 무엇 인지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연설과 변호에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2장에서는 감정과 성격에 대해 다룬다. 수사학이란 듣는 사람의 판단에 영향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다.  부분은 오늘날 상대방을 설득하거나 이해하는 단순한 화법에 있어서도 참고할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3장에서는 연설문,  글에 관한 구체적 가이드이다. 연설문을 구성하는 방법, 문체에 대한 항목이 소개된다.

책을 읽기  단순히 말하는 ,  잘하는 법에 대해   있을 거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며 놀라웠던 점은 듣는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고, 말하는 사람이 어떤 상태여야  효과적으로 전달   있는 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글쓰기 기술을 넘어서 나의 주장을 설득 시키는 방법을 책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부분이 오늘날에도  책이 필요한 이유라고 생각한다. 말하기 혹은 주장하기에 대해 이토록 내구성 있는 책이  있을까 싶다.

*  서평은 서평단 참여를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