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꿈의 해석 청소년을 위한 동서양 고전 9
박정수 지음, 지크문트 프로이트 원저자 / 두리미디어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정신분석학의 대가로 알려진 프로이트의 저서 중 가장 유명하다고 알려진 꿈의 해석은 무의식을 통한 심리적 행동을 해석한 것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심심풀이 해몽과는 뚜렷이 다른 양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꿈이라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해몽은 단순히 꿈을 통한 정해진 틀에 따라 일정한 해석을 통해 운수를 보는 것이라면 정신분석학에서의 꿈은 단순히 꿈을 통해 예측을 하는 것이 아니라 꿈에 담긴 사람의 심리를 파악하여 우리가 모르고 있던 무의식의 세계에서 그 사람의 성향이나 자신도 모르고 있던 자신의 모습을 파헤치고 있다. 꿈을 통한 무의식의 표현을 분석하여 심리적으로 정신적으로 병들어 있는 사람을 위한 심리 치료가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꿈을 통해 자신이 겪었던 일이나 행위들을 꿈이라는 행위를 통해 다시금 표현함으로서 그 사람의 심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주제는 꿈이라는 명제를 가지고 사람의 무의식을 알아가는 하나의 단계이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자신도 느끼지 못하는 행동을 할 때가 있다. 가령 다리를 떨거나, 손톱을 물어뜯거나, 입을 내미는 행동 들을 할 때 우리는 우리가 하는 행동이면서도 의식하지 못한다.

 
그것은 단지 우리 신체가 불안함을 느끼게 되면 자연스레 그러한 행동으로 옮겨지게 만든 습관이다. 머리로 생각해서 하는 행동이 아니라 신체를 통해 습득된 불안함의 습관으로 표현되는 무의식의 행위이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를 통해 우리는 쉽게 무엇 때문에 심리적 고통을 받는지 모른다. 이러한 신체는 습득된 행위로서 의식하지만 정신은 현실을 직시하고 있기에 의식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심리적 불안은 신체를 통해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부분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꿈이라는 존재가 이러한 정신적인 부분에 있어 우리가 불안해하는 심리적인 부분을 꿈이라는 대상을 통해 이미지화 시켜서 그것을 통해 불안의 요소와 더불어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표현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적인 부분으로 인해 신체가 겪는 고통이 단지 육체적으로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부분으로도 발생할 수 있기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꿈이라는 대상을 찾아 분석을 했는 것이다. 이러한 꿈에 대한 해석에 대하여 아직은 전문적인 접근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나에게 있어 이번에 접한 이 꿈의 해석은 상당히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게 만든 장본인이다. 

 

프로이트에 대한 책이 읽기 힘든 이유는 고전이라는 아주 일반적인 이유와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한 인문저서로 그의 이론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한 기초 지식의 부족이라 생각된다. 그러한 당사자인 나는 힘든 이러한 인문고전을 탐독하기 위한 시도는 여러 번 있었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쉽게 접근조차 하지 못했었다. 이러한 나에게도 꿈의 해석을 조금은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입문서 같은 이 책을 손에 들게 된 이유이다. 누구나 그러하겠지만 고전이란 가볍게 접근하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이 이러한 이유 아닌 이유를 만들어 낸다. 또한 이 책을 읽고 있어도 이론의 이해와 상관관계를 파악하지 못한다면 머릿속에 이해되는 글보다 눈으로 훑어 내는 단지 국어 책을 읽는 것보다 더욱 못한 책이 되어 버리고 말 것이다. 이러한 책을 읽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글들이 많고 시각적 다양성을 통해 성인이라도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 이런 인문고전의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이 책은 ‘청소년을 위한’이라는 전제가 붙어 있는 책이지만 굳이 청소년이 아닌 아직은 인문고전에 대한 도전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독자 어느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