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 나를 위해서만 - 죽을 때 후회 없을 단 한 가지 삶의 태도
라인하르트 K. 슈프렝어 지음, 류동수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요즘 문득 ‘내가 왜 이렇게 살아야 하나?’ 라는 생각이 자주 하게 된다. 나도 내가 원하는 거, 즐기고 싶은 거, 하고 싶은 거, 눈치 보지 않고 해보며 살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주위의 눈치도 보지 않고 온전히 나를 위한 삶이 잠시만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생각들이 들기 시작했다. 왜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되었을까? 솔직히 남부러울 거 없는 평범한 생활을 영위하다 처음으로 내가 원해서 ‘나 이거 꼭해야겠다.’ 라는 말과 함께 시작한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 프로젝트를 위해 하루 밤낮으로 걸상에 엉덩이 부비며 살아온 시간들이 나를 이렇게 바뀌게 만들었다. 솔직히 쉬운 일은 이 세상엔 없다는 것을 다시금 절실히 깨닫게 되는 상황이다. 학창시절에는 선생님과 부모님이 채찍질 해가며 나를 움직이게 만들었다면 지금은 주위에 아무도 없다 내가 원하는 거 내가 움직이지 않으면 아무도 나에게 가져다주지 않는다. 그렇게 힘든 생각을 가지게 되다보니 자연스레 나를 채찍질 해 줄 수 있는 멘토 같은 책을 찾아 나서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책 제목만으로도 나를 위한 무엇인가 해 줄 수 있을 것만 같은 모습이 이 책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되어버렸고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부분을 크게 남과 나라는 두 가지의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했었다.

 
첫째, 남을 위한 인생 - 자신이 한 행동이지만 결과적으로 자신을 위한 행위가 아닌 남을 위한 행위를 해왔었던 지난날의 삶이다. 내 인생을 남을 위해 살아왔다는 것이 아니라 남의 눈치와 모든 주변 여건상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해야만 했었던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울, 무기력, 핑계, 주변의 환경으로 인한 자연스런 선택적 상황까지 그것은 나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자기합리화에 기인한다. ‘~했기 때문에, ~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하지 않으면’ 등등 이러한 말 자체가 어떻든 간에 말한 원인에 대한 책임을 자신이 짐으로서 결과를 떠안게 된다. 결과적으론 ‘남을 위해서 나를 희생한다.’라는 전제가 깔려 있지만 그것은 결과적으로 남을 위해 나의 삶을 없애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그러한 선택에 있어 그 누구도 아닌 자신의 선택에 자신이 희생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만들 수밖에 없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 자체가 남을 위한 삶을 살고 있는 우리 자신이 그 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이 맞딱들인 상황에 대해 억울해 하는 모습이 잘못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선택의 기로에서 자신이 그렇게 선택했었기에 그 결과에 대한 책임 또한 자신에게 있지만 우리는 쉽사리 그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은 항상 남을 위해 살았다는 기분으로 인생을 이어나갈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을 주지 시켜주고 있다.

                                          “ 결단이 차이를 만든다. ” - [p187]

둘째, 나를 위한 인생 - 이러한 남을 위한 삶을 이제는 벗어 버리고 자신만을 위한 진정한 선택을 하라는 것이다. 누군가에 의해 자의든 타의든 선택을 했으면 후회는 없어야 한다는 것이 저자가 말하는 나를 위한 인생을 사는 의미가 아닐까 생각된다. 우리가 사회에 속해 살면서 배재 할 수 없는 부분이 주변의 상황과 자신의 위치이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그런 상황과 위치에 억매이지 않고 오롯이 자신만을 위한 선택을 하기 바라는 저자의 궁극적인 목적을 제시 하고 있다. 우선은 자신을 위해 해야 할 것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지금 당장 우물쭈물 하지 말고 과감한 결단력으로 실행에 옮기길 바라고 있다. 이것은 저자가 우리에게 바라고 있다고 생각하기보단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게 바라고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항상 주변의 눈치를 받고 있는 삶에 대한 스스로의 탈피를 위해 노력하지만 결과적으론 앞서 말한 행위에 대한 자유의 구속적인 모습이 계속적으로 악순환 될 뿐이다. 그러니 이제는 ‘~할 것이다, ~해야지,’ 등의 어렴풋한 결심 보다는 ‘ 지금(당장) ~한다.’ 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미래를 위해 세우는 결심은 다음으로 미룰 수 있지만 현재(지금)에 당장 실행해야 하는 약속은 미룰 수 없다. 지금이 아니면 그것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들을 습관화 시킨다면 전보다는 나를 위한 삶의 부분이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솔직히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는 감정적으로 책을 접해서인지 화가 났었다. 내가 알고 있던 당연시 생각했었던 상황을 토대로 나를 질타하는 책은 아니었지만 생각의 생각을 거듭하고 읽고 또 읽으면 화가 나 있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었다. 또한 그 화의 주인공은 나로 향해 있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나를 위한 쓴 소리를 이 책을 통해 접하지만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화가 나는 이유는 도덕적 논쟁, 합리적인 논쟁을 떠나서 오로지 인과관계에 따른 나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것과 그 결과의 책임은 나를 향해 있다는 것이다. 감정을 배제한 원인과 결과, 그것이 결국은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게 만들어 버리고 화를 나게 만드는 이유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 책의 제목에서 보듯이 오롯이 『내 인생 나를 위해서만』이다. 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이다. 사회적인 지위와 공동체 삶 안에서의 나의 지위로 인해 만들어진 내 삶이 아닌 주위의 간섭 없는 나 혼자만을 이야기 한다. 그래서 처음 접할 때는 주위의 모습에 둘러싸인 내 모습을 투영해 보기에 이해를 하기 힘들겠지만 모든 것을 주위의 모든 요소를 하나씩 소거해 보게 되면 분명히 이해하고 조금은 새로운 시각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