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사회 : 사자, 개미, 마모셋원숭이 과학과 사회 6
기 테롤라즈 외 지음, 이수지 옮김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사람이 처음 사회에 발을 내딛는 순간은 20대가 아닌 어머니의 뱃속에서 나오는 순간일 것이다. 태어나는 순간 우리는 가족이라는 사회에 편입되고 그 후로 계속 사회라는 단체 속에 존재해야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하나씩 배워나간다. 단지 누군가의 보호 밑에서 소리 없는 전쟁 속에 보호를 받고 있을 뿐 적정나이가 되면 진정한 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는 비단 인간만 존재하는 것일까? 그것은 누구나 알고 있듯 아닐 것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살아 숨 쉬는 생물에게 적용되는 이야기이다.

[동물들의 사회] 이 이야기는 동물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이야기 하고 그들이 이 세계에서 살아 남기위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 역자의 이야기를 빌려 이야기하자면 사회성의 진화이다. 당연히 그 주인공들은 동물이며 제목에서 보여주는 몇 몇 동물만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들은 그중에서 대표로 나열된 이름이고 정확히 이야기 한다면 ‘영장류, 포유류, 곤충’일 것이다. 이 세 가지 분류를 통한 집단의 진화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는 비단 동물사회뿐만 아니라 그들의 모습에서 인간사회를 이루는 기본적 밑바탕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할 것이다.

세 명의 학자가 말하는 3가지의 주제를 통해 바라본 동물들의 모습은 참으로 흥미롭게 풀어 설명해 놓았다. 첫째, 동물들은 자기들의 영역을 극대화하고 최대의 이익을 취하기 위해 행동하는 모습을 띄게 된다.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한 같은 개체군과의 협력과 동질성을 바탕으로 서로의 이익을 극대화 하려는 동물들의 사회를 말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그 집단 속에서도 더 많은 이익을 위해 다른 동물들을 자신의 영향력아래에 두기 위해 싸움을 통해 계급을 형성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사회에서 이익의 극대화와 집단의 발전은 그만큼 그 개인의 영향력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둘째, 집단의 모습에서 동물들은 좀 더 우월한 유전자를 가진 자식을 위해 종족 번식에도 상당한 공을 들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개체집단의 좀 더 상위 계급의 동물들, 즉 무리의 우두머리와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동물들은 다양한 종족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비단 종족의 번식뿐만 아니라 자기와 자식들이 좀 더 안전한 보호를 받으며 살아 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 때문에 그들은 이러한 사회적 모습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셋째, 곤충들은 집단생활에서 얻은 지식을 서로에게 피드백 해준다는 사실이다. 이는 서로에 대한 집단적 모습에서 서로에게 더 큰 이득을 주기 위한 하나의 행위도 될뿐더러 그들이 경험한 노하우를 전해주는 하나의 우월성이다. 그들은 이러한 행위를 통해 자기의 집단에 이익이 될 만한 일을 함으로서 자기의 집단을 키우고 발전 시켜 나가고 집단이 커지면 그들 사이에서도 일의 전문화와 분업화가 이루어져 행동하게 된다.

이렇듯 이들을 통해 바라본 동물들의 세계는 우리가 흔히 tv에서 보는 다큐멘터리의 이야기와 비슷하고 tv를 통해 바라본 이야기들의 속편이라고 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또한 이 세 가지의 주제를 통해 바라본 이야기를 동물들이 아닌 인간의 모습을 대입 시켜 본다면 좀 더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내용들이다. 조금은 깊이 있지만 그렇다고 쉽게 다가서지는 못하는 이야기들이 아닌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다큐멘터리 tv를 보는듯한 마음으로 읽는다면 누구나가 쉽게 읽을 수 있고 많은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