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나에게 맞지 않으면 그 작가와 그 글은 나에게 별로인 것이 된다. 가끔씩 소설이라고 나오는 책들을 보면 내용이 빈곤하거나 등의 이유로 나에게 실망감을 많이 안겨 주었다. 정말 검증된 작가분들의 소설을 고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간혹 그 실망감을 안겨주는 책들에서 보물을 찾을 때가 있다. [내 심장을 쏴라] 이 작품이 거기에 해당되는 작품이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처음 정신병원이라는 소재를 사용했다는 소리를 들었을 때 영화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를 떠올리게 만들었다. 임수정이라는 사람을 좋아하고 비를 좋아라 하지만은 영화에 대해서만큼은 좋다고 이야기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재미의 추구를 위해 본 영화지만 재미가 없었다. 그러한 사실을 주지시키며 이 소설을 접하게 되었지만 영화와 책을 엄연히 같은 주제 다른 이야기의 모습이기에 처음부터 재미없을 꺼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스키조 수명과 라이터 승민의 불꽃튀는 정신병원 생존기. 미쳐야 되는 놈이 미치지 못해 미치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승민과 현실을 부정하고 그 이유를 남에게 돌리는 수명이 정신병원이라는 공간에서 만났다. 공간이 정신병원이라는 곳이지만 현실을 부정하고 싶어하고 내 마음대로 살아가고자 하는데 사회적인 시선이 무서워 그러지 못하는 세상을 정신병원이란 곳을 통해 내면의 이중성을 마음껏 표출하는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미치지 않은 사람이 미쳐야 되는 세상에 들어왔다. 그리고 승민 자신은 미치지 않았으니 나가야 된다고 한다. 엄마라는 사람의 자살로 누군가 그에게 말은 걸어오는 수명, 늘 혼자라 생각해 그가 유일한 자신의 친구라 생각하게 되고 그 내면의 자아를 떠나 보내지 않기 위해 노력하다 결국 정신분열이라는 병에 걸린 수명이 세상과 완전히 단절된 감옥과도 같은 정신병원에서의 생활을 하게 된다.

이 두 사람의 공통점은 타의에 의해 들어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내 의지가 아닌 타의에 의해 만들어진 세상에서 자의로 살아가는 방법을 찾게 된다. 수명은 그 속에서의 삶도 자기의 것으로 느끼며 살아가려하지만 승민은 그러하지 못한다. 승민의 탈출을 은연중에 돕게 되고 그 것으로 인해 그 둘은 서로의 삶에 대해 동정심을 느끼게 된다. 또한 수명은 승민의 모습에서 진정한 자기의 모습을 찾게 되는데 이는 서로의 세상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서로의 모습에서 삶의 진정성을 배우는 두 사람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에서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심히 생각하게 되었다. 누군가의 모습이 아닌 나 자신의 모습을 찾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원초적인 질문을 하게 만들었다.

세상을 향한 둘만의 시위를 보며 나는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생각해야 했다. 세상의 이중성, 자신의 이중성, 무엇인가를 찾기 위한 끊임없는 질문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이러한 삶의 모습을 보면서 문득 내가 하고 싶은 진정한 일은 무엇인가? 라는 생각이 스쳐갔다. 내가 만들어 낸 세상에서 최고가 되는 것일까 아니면 남들이 만들어 놓은 세상에서 최고가 되는 것일까. 나의 존재 이유를 알고 싶어 졌다. 정신병원이라는 곳에서 어떠한 일이 존재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내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살아 가야하는 이유를 알고 싶을 뿐이다. 누구나 자신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하며 살아갈 것이다. 거기에 따른 답답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소설을 통해서 자기만의 답답함을 조금씩 풀어나갈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재미를 위해서도 좋고 자기위안을 위해서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