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의 기술 - 심리학자의 용서 프로젝트
딕 티비츠 지음, 한미영 옮김 / 알마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먹기에 모든게 달렸다. 저자가 생각하는 용서의 기술을 습득하기란 나로써도 참으로 난감하기 이를데 없지만 그의 글을 읽어보면 볼수록 새로이 세상을 바라보게 하는 매력이 있다. 심리학자가 말하는 용서의 모습을 보면서 나를 좀 더 생각하게 만들고 그 글들을 두 번 세 번 읽게끔 하니 참으로 모든 것이 내 삶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만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다. 나 또한 삶이 그리 순탄하다 여기며 살지는 않았다 하는 자기연민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으나 그렇다고 아니라고는 말 못하는 나 자신을 보면서 이 글이 얼마나 나에게 필요하고 또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게 여겨지는 순간이기도 했다. 단지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내용의 느낌도 틀리겠지만 나는 내 삶에 투영해 봤을 때 많은 부분이 공감가고 그런 느낌을 받았다는 것이라고 미리 말하고 싶다.  


사람은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남에게 피해를 주고 또한 피해를 입으며 살아간다. 그것은 나이가 어리든 많은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일어 날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자기 자신에게 돌아온 피해만 기억하고 그것을 평생토록 기억 속에 간직하고 살아간다. 그리고 그것을 언젠간 돌려주리라는 생각을 무의식적으로 간직한다. 하지만 그것을 이해하고 풀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용서를 통한 이해가 자기 자신에게 얼마나 큰 이로움을 선사하는지 조차 인지 하지 못한다. 단지 그 일을 자연스럽다는 듯이 생각하고 그 행동을 답습하므로써 그 것이 삶의 일부인냥 생각할뿐이다. 그런 행동을 버리면 더 큰 행복을 맛 볼수 있는데도 말이다. 
 

“복수는 다른 사람을 해치기보다 자기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 P60 - 

흔히 사람들은 생각한다. 어떠한 상황이 나를 부당하다고 생각하게 만들면 내가 선택할 수있는 길은 하나로 압축 된다. “복수” 하지만 그 부당한 상황에 힐난하고 비난만의 길을 가지 않는다면 내가 선택하고 갈 수 있는 길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다가온다. 결국 누군가에게 부당함을 느낀다고 복수를 꿈꾸면 거기에 대한 피해를 보는 사람은 정작 자기자신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사람들은 모른다. 결국 용서란 나에게 피해를 준 사람에게 면죄부를 주는것이 아니라 나를 좀 더 안락하고 편안한 삶을 살 수 있게끔 하고 나 자신을 지금의 삶보다 더 행복하고 사랑하게끔 만들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인 것이다.

“선원은 바람을 통제 하지는 못한다. 다만 원하는 행선지로 갈 수 있도록 바람을 다루는 방법을 배운다”  - P198 -

세상을 보는 관점의 차이로 인해 현실을 바라보는 시점이 변화되고 작아진다. 그렇다고 과거에 얽매여 삶을 낭비할 필요는 없다. 다만 그것을 이해하고 용서함으로 인해 더 큰 틀로 바꾸어 이 세상을 바라보라. 자기의 감정을 통제하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면 당신은 모든 것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라는 것이다. 모든일이 내 뜻대로 안된다고 불안해 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결국 저자는 용서에 대해서 말을 하지만 결국 용서라는 주제를 가지고 감정에 대한 자기 이해와 그것을 다루는 기술을 배우라는 것이며, 모든 것은 내 마음에 달렸다는 것을 다시한번 일깨워 주려고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