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문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 하서출판사 / 1991년 8월
평점 :
절판


많은 소설을 남겼던 레마르크를 우리는 거장이라기보다 과거의 유명작가쯤으로 알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그의 소설엔 과연 어떤 마력이 있다는 것이다. 한번 책을 들면 점점 갈수록 손을 놓게 만들수 없는. 그리고 작품성이라면 거의 고급영화의 대본을 읽는 것과 같다. 전후의 폐허, 안개, 스산함이 감도는 유럽풍의 영화. 그래서 그랬는지 그의 소설의 히트작들은 거의 영화화됐다. <개선문>은 영화를 봤을 때와는 다른 면이 있다. 그것은 빼어난, 섬세한 심리묘사라는 것이다. 이것은 책을 보지않고서 불가능할 것이다. 원작보다 나은 영화가 있지만 이 작품은 소설이 더욱 작품성이 있다. 빨려들어갈 듯한 문체로 인해 몇페이지만 읽다보면 작품성있는 책들의 오만함의 티인 '지루함'같은 것도 없다.

나찌즘의 탄압을 피해 프랑스로 피난온 불법외과의 라빅의 불안한 생활의 단면을 그린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개성있는 여자, 여자중의 여자인 카페의 여자가수 '조앙마두'와의 만남이 이 소설의 하일라이트다. 라빅은 이미 전쟁으로인해 헝클어진 마음으로 이 여자의, 병적으로 의존적이며, 사랑없이는 못살고, 무책임한 이 여자에 대해서 끊임없이 사랑할까, 말까하는 불안함에 시달린다. 라빅은 영원한, 일시적인 것이 아닌, 자기만의 무언가를 원했지만 반면 여자는 즉흥적이며 아무래도 좋다는 그때그때의 쾌락에 몸을 던지고 필요하면 언제든지 남자에게 의존하는 여자지만 라빅을 사랑한 것만은 사실이다. 라빅의 허무를 어둠을..... 그러나 여자는 라빅의 익명의 불안한, 잡을 수 없는 점을 사랑한 것이지 라빅이 모든 것을 던지고 그녀의 포로가 됐다면 분명 무책임해졌을 것이다. 마치 영화<빠리에서 마지막 탱고를>의 여주인공처럼.

라빅은 영리하게도 그 최후의 허무를 간파한 듯 싶다. 두 사람의 옥신각신하는 심리적 싸움이 전후의 폐허와 스산한 풍경, 유럽적 풍경 속에서 절묘하게 묘사하고 있는 소설 <개선문>! 또다른 명작<서부전선 이상없다>와 함께 레마르크의 뛰어난 작품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