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다라
김성동 지음 / 푸른숲 / 199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순진하고 정직한 ,도덕적인, 법을 고수하는 승이 도를 찾아 방황하는 모습을 제법 진지하게 그린 작품이다.

아직 세상 경험이 없었고 법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었던 주인공 법운의 고뇌는 무엇일까. 그것은 그가 알고있었던, 찾고있었던 도가, 법이 깨끗하고, 순수해야한다는 믿음, 고정관념에서 오는 고뇌가 아니었을까. 도가 실상은 전혀 그런 것이 아니었음을, 또 그것 아닌 것도 아니었음을 얼핏 느끼게 해주었던 소위 땡초 '지산'의 등장이 법운의 고뇌, 법운의 화두를 탄생시켰다.

바로 '진리란, 도란 무엇인가....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지산의 행동은 법운의 순진무구한 눈에 혐오를 느끼게하는 것 뿐이었지만 서서히 그의 행동 속에서 법운은 도의 실체에 대한 혼란을 겪는다. 그는 도인인가, 각자인가....."깨끗함을 알려는가, 질리도록 더러움을 겪어야한다. 여자의 더러움을 알려는가. 그럼 여자를 알아야한다. 겪어야한다. 그래야지 초월할 수 있다. 도 또한 그런 것!"

법운은 너무도 때가 묻지 않았다. 그래서 전혀 도를 알지 못한 사람이었다. 도에 대한 환상이 지나쳤다. 나는 지산이 득도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조금만 조금만 그가 죽지만 않았더라면 머지않아 득도할 가능성이 있는 자는 '지산'이 아니었나 싶다. 그것은 그가 온갖 더러움을 더럽지 않게 알았다는 것. 또 그것을 몸소, 질리도록 경험했다는 점. 그리고 모든 것을 체념한체 자신의 삶을 목적없이, 의지없이 완전히 내맡겼다는 점이다.

법운은 그 추함은 싫었음에도 지산의 그 추함조차 뛰어남은 무욕과 무의지에서 자신의 '도의 환상'이 해체되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그는 하산한다. 그는 그 추함, 모든 추함조차 포용하고 있는 그 도를 배우러 하산한 것이다.

<만다라>의 허무, 고독.....이는 도를 그리워하는 자, 법운의 깨달음으로 가는 중간 단계의 경험이라고 볼 수 있다. 그가 배워야할 도는 이제 '세상의 거부'가 아니라 '세상에의 내맡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