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쓸모 - 팬데믹 세상 이후, 과학에 관한 생각
전승민 지음 / 체인지업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의 쓸모




과학을 왜 배우나요? 

과학자가 될 것이 아닌데 과학을 배워야 하나요? 

과학을 몰라도 그냥 첨단기술 제품을 잘 이용하며 살면 되는 것 아닌가요? 

하는 질문들에 대하여 궁금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 책은 코로나로 우리가 마주치게 된 팬데믹 세상 이후, 과학에 대한 생각들에 대한 책입니다. 표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뉴 노멀 시대, 복잡한 세상을 가장 쉽게 이해하는 과학적 사고법! 


저자는 ‘과학을 알지 못하면 생기는 일’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조금의 과학 지식만 알고 있으면 지금과 다가올 미래 사회를 살아가면서 정말 큰 도움을 받을수 있을것이라 말하며, 과학기술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직접 찾아보는’ 습관을 가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우리의 문화는 과학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공계와 전혀 관계없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과학적인 기본 지식은 필수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지식이 많은 것보다는 지식을 취합하고 선택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따라서 오리는 과학과 기술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하고,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가져야 하며, 검증된 전문가의 이야기를, 즉 제대로 된 전문가의 이야기를 중대하게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회로부터 강요받게 될, 복잡한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살펴보거나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크게 세 챕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ecessity’ ‘필요성’이라는 단어로 챕터를 세 개로 나누었습니다. 

과학,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 

과학, 새로운 시대를 여는 열쇠 – 새로운 산업의 출범, 우리가 대비해야 할 것들

과학이 만드는 신세계 – 근원을 알아야 새로운 시대가 보인다


necessity 1에서는 질병과 재난에 관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것들에 대해 다룹니다. 바이러스, 미생물, 면역질환, 유전병, 독극물, 부상 등에 대한 상식적인 내용을 흥미롭게 다루고 있으며, 읽다보면, 내 몸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할 다양한 내용들을 자연스레 받아들이게 됩니다. 


necessity 2 에서는 새로운 산업에 대해 소개하고 우리가 무엇을 대비하면 좋을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인공지능, 로봇,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첨단기술, 통신기술 등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정말 얼마나 과학이 발전했는지를 실제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흥미로웠습니다. 특히 IOT, 블록체인, VR에 대한 내용이 재미있었고, 우리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적 ‘소프트웨어 역량’을 키워야한다고 이야기합니다. 


necessity 3 에서는 앞으로 과학이 만들 신세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미래 에너지 기술, 땅속을 나는 기차, 하늘을 달리는 자동차, 화성으로의 이사, 뇌과학 등 상상만 했던 이야기들이 좀 더 가깝게 느껴지는 내용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 세번째 챕터를 가장 재미있게 보았답니다. 




개인적으로 과학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도 좋아하지만, 오랜만에 나의 삶과 가까운, 체감되는, 그리고 기대되는 과학에 대한 이야기라 그런지 무척 재미있게 읽은 책입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 그게 과학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