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1 -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
손정목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굿 한마디로 ,돈한푼 주는 사람도 없는 작업을 역사에 대한 소명의식과 본인의 학구열로 감당햇다는 것에 대해 존경을 금치 못한다

 단독집필이라 군데 군데 주관성에매몰되어진 부분이 보이지만  반대로 혼자이기에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자유로이 집필하므로서 정사에서는 절대 볼수 없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다

박정희대통령이 통치자금마련을 위해 강남 땅투기를 했다는 이야기를 지금이야 자유로이 하지만

,사실 과거 같으면 소문으로만 돌 그런 이야기 인것이다 ,

또 우스운것은 강남의 개발동기가 강북 과밀화 방지 였다니 역사는 돌고돈다는 말이 너무나 와닸는다

한마디로 서울의 탄생의 과정을 딱딱하지 않게 풀어낸 훌륭한 인문서라고 본다

서울사람인가? 그럼 자기를 이해하기 위해 읽어보라

서울사람이 아닌가? 그럼 서울을 이해하기위 해 읽어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모든 상처가 아문뒤 그 상처의 흉터를 보며 저자는 담담히 그 상처와 대화를 한다

그때는 왜그렇게 아팠지?

그렇다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그때는 그럴수 밖에 었는 그런 순간이 있다 지금도 그순간 인지 모르겠다

저자의 고통이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절절히 베여 온다 소위 한소식 하신것같다

심리라는게 알고보면 간단한 별거아닌, 사람 사는 거라 는 걸 잘 보여준책이다

그대 아픈가? 아직도 도망가고 싶나 ? 그럼 도망가기 전에 꼭 한번 읽어보고 도망가시게 ,

조금더 빨리 돌아올 힘이 생길 것입니다 

마음이 복잡하고 우울하고 무기력한 사람에게 강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김열규 지음 / 궁리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라틴어로 돼어있다는 것이 의미 하는 것은 무엇일까?
저자자신은 국문학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출판의 상업주의적 안목의 소산인가? 아니면 저자의 유식함이 빗어낸 자연스러움인가? 어느 경우든 이상하군. 우리의 죽음은 라틴어인가?

죽음이라, 이 얼마나 아찔하고 현기증이 나는, 그리고 소위 책좀 읽었다는 사람이면 누구나 두려움으로 쳐다보는 주제인가?
너무나 무거워 감히 가까이 가기도 두려운 그런 주제가 아닌가?
이 주제를 정면으로 일반인이 읽기에 적당한 내용의 글로 풀어낸 저자의 의도와 노고를 치하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하나 밖에 줄수없는 이유는

첫째,앞에서도 나온 지적이지만 동의반복적인 설명이 돼풀이 된다는 점이다. 책이란 특히 훌륭한 책이란 한페이지가 무겁고 한 문장 한 문장이 촌철살인의 맛이 있어야 한다.하지만 이 책은 너무나 같은 개념과 예문이 빙빙돈다.이이야기 저이야기. 전체적 안목에서 쓰인것이 아니라 그때 끄때 쓰인것같다

두번째,나는 최소 이런 제목을 걸고 책을 쓸때는 편협하게 국문학적 관점만이 아닌 동양학 전체철학에서의 입장, 각종교에서의 입장 ,서양 철학에서의 입장 그리고 오늘날 세계화시대속에서 죽음의 의미등 이 모든 것이 반드시 다루어져야한다고 본다. 즉 거창한 제목에 부응하지 못한 내용의 부실함이다

셌째,서평을 보고 샀는데 내가 보기엔 나처럼 막연한 기대감으로 구매하기보다 이런 시점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좀더 알찬 내용의 저자의 육성으로 된,머리와 자료가 아닌, 책을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