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김열규 지음 / 궁리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라틴어로 돼어있다는 것이 의미 하는 것은 무엇일까?
저자자신은 국문학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출판의 상업주의적 안목의 소산인가? 아니면 저자의 유식함이 빗어낸 자연스러움인가? 어느 경우든 이상하군. 우리의 죽음은 라틴어인가?

죽음이라, 이 얼마나 아찔하고 현기증이 나는, 그리고 소위 책좀 읽었다는 사람이면 누구나 두려움으로 쳐다보는 주제인가?
너무나 무거워 감히 가까이 가기도 두려운 그런 주제가 아닌가?
이 주제를 정면으로 일반인이 읽기에 적당한 내용의 글로 풀어낸 저자의 의도와 노고를 치하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하나 밖에 줄수없는 이유는

첫째,앞에서도 나온 지적이지만 동의반복적인 설명이 돼풀이 된다는 점이다. 책이란 특히 훌륭한 책이란 한페이지가 무겁고 한 문장 한 문장이 촌철살인의 맛이 있어야 한다.하지만 이 책은 너무나 같은 개념과 예문이 빙빙돈다.이이야기 저이야기. 전체적 안목에서 쓰인것이 아니라 그때 끄때 쓰인것같다

두번째,나는 최소 이런 제목을 걸고 책을 쓸때는 편협하게 국문학적 관점만이 아닌 동양학 전체철학에서의 입장, 각종교에서의 입장 ,서양 철학에서의 입장 그리고 오늘날 세계화시대속에서 죽음의 의미등 이 모든 것이 반드시 다루어져야한다고 본다. 즉 거창한 제목에 부응하지 못한 내용의 부실함이다

셌째,서평을 보고 샀는데 내가 보기엔 나처럼 막연한 기대감으로 구매하기보다 이런 시점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좀더 알찬 내용의 저자의 육성으로 된,머리와 자료가 아닌, 책을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