뺏벌 -상
안일순 지음 / 공간미디어 / 1995년 5월
평점 :
품절


기지촌 여성들의 문제는 우리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제 3세계 여성, 즉 아시아 여성들의 삶의 모습과도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단지 그들의 모습을 보고, 듣고 한 것에만 분노를 느낄 것이 아니라 그 본질적인 면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바로 그 본질적인 것 중 하나가 우리 안에 있는 여러 종류의‘식민지 문화’이다. 세계 2차 대전, 베트남 전쟁, 한국 전쟁 후에 아시아는 세계의 사창가가 되었다.

“총독부에서 간판만 바꾼 것이다. 미군이여, 해방? 이 넋 떨어진 것들아, 우린 여직꺼정 식민지 백성이여. 우리나라가 온전치 못하면 여자들도 성하지 못하지. (중략) 양갈보 정년퇴직하는 날이 해방인겨. (중략) 만주, 장춘, 하얼빈, 상해, 안가본 곳이 없고 성조기 따라 문산, 송탄, 부산, 의정부, 안가본 곳이 없어” 백순실의 말이다.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문단, 미군 주둔 등 현대사의 갈등이 한 개인에게 정신대와 양공주라는 지울 수 없는 생채기를 남겨 놓은 것이다.

<뺏벌>이란 지명에서도 이들의 삶을 단적으로 알 수 있다. 뺏벌은 의정부에서 퇴계로 쪽으로 10여㎞떨어진 스탠리 미군 부대 옆의 동네다. 행정구역은 고산동이지만 한 번 발을 들여놓으면 뺄 수 없다는 의미에서 이렇게 바뀌었다고 한다. 한국인의 초상을 얘기하면서 기지촌은 빠질 수 없을 정도로‘한국의 아메리카’라는 명칭처럼 깊이 뿌리박혀 있다고 하겠다. 이태원, 동두천, 의정부, 송탄, 평택, 군산 등 현재 27개 기지촌의 보건당국에 등록된 미군 상대 윤락 여성은 8천명 정도라고 한다.

안타깝고 시린 가슴으로 소설을 읽어가면서도 텅빈 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기지촌의 행정관리들이 윤락여성들을 강당에 모아 놓고 “당신들은 한국을 지켜주러 온 미군을 위안하고 달러를 벌어들이는 애국자.”라고 칭송하는 해프닝이 그것이다. 또 미군을 성병에서 보호하기 위해 우리 국민이 낸 세금으로 기지촌 여성들 성병 예방을 하는 것 또한 그러한 것이다.

“진짜 미친 것은 여자들이 아니라 美親 사회였다는 것, 그녀들을 기지촌으로 등 떠밀고 몰아낸 것은 美親 정권이었다는 것을.” 작가의 말이다. 기지촌 여성을 비롯한 현재 우리 사회의 매매춘 여성의 인구수조차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 정부는 이들에게 인간적인 차원에서는 물론 제도적인 차원에서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소설의 첫 장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차미옥의 죽음은 93년 윤금이씨 사건을 생각나게 한다. 작가 또한 병조각이 온몸에 박히는 듯한 착각에 빠져 고통스럽게 신음했었다고 한다. 그처럼 그들에게 뿐만 아니라 이 땅에서 여성으로 살고있는 모든 이들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준 사건이었던 것이다. 문제는 한미행정협정이었다. 1966년 7월 한국의 월남 파병과 한·일협정체결로 반미 의식이 고조되자 이를 무마하기 의해 맺은 불평등 조약이다. 특히 미군범죄 형사 재판권 제 22조는 사실상 한국 정부의 재판권 포기를 나타낸 것이다. 재판권 3항 역시 미군 당국의 요청이 있으면 한국 정부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재판권 포기 해야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진정 이 나라는‘주체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중략)“기지촌을 배태시킨 구조적인 문제에 앞서 미국 병사 케네스 마클에게 돌을 던지기에 앞서 우리가 먼저 눈을 떠야 한다. 그리고 그 각성은 기지촌 여자와 아이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일부터 시작되어야 하지 않을까.”

작가의 말처럼 그들을 바라보는 것만이 아니라 왜 그들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 그들의 위치는 어떤 것인지, 어떻게 접근하면 되는지를 우선 우리 자신부터 신중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런 뒤에 내가 다시 세상을 바라볼 때는 할퀴어진 역사 속에서 숨죽일 수밖에 없었던 여성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 분노를 주인 되고 올바른 의식으로, 사랑으로 받아들여 진정 여성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뚜렷이 자리매김해 보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