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대하여 사이언스 클래식 23
에드워드 윌슨 지음, 이한음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윌슨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문화의 기원, 그리고 그 현상을, 다른 사회성 동물들의 행동과 그들의 사회구조와 비교하여, 그리고 여러 가지 설명 기제---친족선택과 상호 이타주의, 자기 촉매화 모델, 이상 발달 등---를 도입하여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다.

친족선택 이론은, 친척들은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가까운 친척의 생존과 재생산 기회를 도모함으로써 유기체는 공유하는 유전자의 일부가 다음 세대에 전달될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윌슨은 생물의 이타주의를 설명하는 방편으로 이를 채택하고 있다. 사실, 이타주의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는 것은 실제로 설득력이 없는 것 같다.

윌슨도 이타주의가 자연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라고 말한다. 침팬지가 집단 사냥에서 얻든 먹이를 나누어 먹거나 어미 없는 새끼를 입양한다든지, 새가 자신이 적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계음을 내는 경우, 벌의 독침 쏘기 등이 그 예이다. 문제는, 이러한 이타주의가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가하는 점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친족선택 개념인데, 혈연자를 돕는 행동을 야기하는 유전자는 선택 상 유리하며 개체군에 퍼질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자기를 희생하여 혈육을 돕는 이타적 행동은 적어도 그것을 행하는 개체에게 손실을 주지만, 그 개체의 유전자에서 보면 득이 된다. 따라서 이타적으로 보이는 행동도 살아남은 가까운 혈육을 통해 자신의 유전자를 전파한다는 이기적인 장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는 개체들간의 이타주의는 상호 이타주의라는 기제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한 유기체의 행동이 미래에 보상받을 충분한 가능성이 있을 때, 생존의 관점에서 다른 유기체를 돕는다는 것이다. 윌슨은 사회성 곤충들의 이타적 행동이 친족선택을 우선하고 맹목적인데 비하여 인간의 이타주의는 궁극적으로 이기적인 목적적 이타주의라고 이야기한다. 그렇기에 인간은 양가감정과 자기 기만, 죄의식으로 뒤범벅된 존재이지만 이것은 다행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지금도 지구상에는 민족, 인종 간 갈등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데, 만일 인간이 맹목적으로 이타적이라면 무슨 일이 벌어지겠는가를 생각해 보면 납득이 되는 말이다.

인간의 생물학적 성향의 이상 발달 사례로는 전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생물학적 성향이란 인간의 공격성이라는 유전적인 성향을 가리킨다. 우리는 사람들을 동료와 이방인으로 나누고 이방인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끼고 공격하는 행동은 타고난 것이다. 윌슨은 전쟁의 진화가 자가 촉매적 반응이었다고 말한다. 즉, 공격성은 군장 국가 및 국가의 성립하자 제도화했고 전쟁은 정책 수단으로 채택되기도 했으며, 전쟁을 가장 잘 수행한 사회 가장 성공한 사회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보상의 결과, 인간의 공격성과 전쟁 행위는 계속 유지되고 발달되어 왔다는 것이다.

잊지 말아야할 것은 이타주의나 공격성 등이 인간이나 동물계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까닭은 모든 동물이 그런 행동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일 것이다. 생물의 행위는 내장된 유전자에 의해 프로그램 되어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사회적 행동이나 문화의 진화란 그러한 유전자를 보존하고 증식시켜 가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이에 따르면 생명의 주체는 유전자가 된다. 개체란 잠시 태어났다 사라지는 존재이지만 유전자는 영원히 살아남는다. 각 생물 종의 특성은 유전자가 보다 많은 복사체를 만들 수 있도록 했던 형질들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