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발명가 앤드루의 모험 비룡소의 그림동화 85
도리스 번 지음, 이원경 옮김 / 비룡소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책표지를 보면 앤드루가 자신이 만든 집에서 여유스런 몸짓으로 밖을 내다보는데


멀리서 친구 앨리스 버독이 새장과 모이와 책들을 잔뜩 들고 걸어오는 모습이 보인다.


전체적인 연두색이 마치 그들의 숲 속에 함꼐하고 있는듯한 인상을 주었다.


주인공 앤드루는 누나 둘과 동생 둘, 엄마 아빠 이렇게 일곱식구가 함께산다.


제각각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모습의 식구들은 앤드루에게 별관심이 없어보인다.


하지만 앤드루는 나름 무지 바쁘게 산다.


이것저것 뚝딱거리며 만들기를 좋아한다.


그런 앤드루는 자신의 발명품들을 식구들에게 선보이지만 반응은 그닥 좋지않다.


얼마나 자랑하고~칭찬받고~인정받고 싶었을까요.


그런 앤드루가 결심을 하고 짐을 한보따리 싸서 어디론가 떠난다.


그 모습을 착한 강아지 샘이 지켜본다. 샘은 마지막 목격자이지만 침묵의 목격자이다.


집 떠나는 앤드루의 새로운 집이 어떨지 살짝 궁금해지기 시작한다.


깊은 숲으로 들어간 앤드루는 넓은 벌판에 이르고 그 곳에 자신만의 집을 짓는다.


자신의 집에서 창밖을 내다보고 있을때 앨리스 버독이란 친구가 찾아와 자신도 집을 지어달라 부탁한다.


새들과 함께할수있는 집을... 그집도 뚝딱~만든다. 뒤이어 낚시를 좋아하는 조지 터너에겐 다리위의 집을...


애완동물을 좋아하는 조 폴래스키에겐 땅속의 움집을...제인 오말리에겐 성같은 집을...악기연주를 하고싶어하는


마곳에게는 아무도 방해하지않을 인디언 원뿔 천막집을 지어준다. 그후로도 부모님께 꾸중을 듣고 찾아온


사라,돈 피터슨,스탠리에게도 집을 각각 지어준다.


와~이렇게해서 들판에는 아홉채의 집이 들어서고 작은 마을이 생겨났다.


한편, 아이들이 없어진것을 안 어른들은 밤낮으로 찾아 헤매며 애를 태운다.


닷새가 지난 이른 아침에 드뎌 침묵의 마지막 목격자 샘이 출동하고 그뒤를 어른들이 따른다.


허둥지둥 샘을 따르며 아이들의 흔적을 뒤쫒다 드뎌 아이들을 찾는다.


누구하나 혼내거나 야단치는 어른하나 없다. 나같으면 대번에 이노므 자슥이~하며 속상한 맘을 표현했을텐데...


아이들 찾은 것을 기뻐하며 행복해한다.모두들 무사했으니까~


아이들도 식구들과 헤어져 있던 날들이 길게 느껴졌다. 집으로 돌아갈 때가 된것이다.


그래도 앤드루와 아이들은 이 작은 마을에서의 시간을 잊지못할것이다.


그후 앤드루는 지하실에 멋진 작업실을 갖게된다. 모두들 이번엔 무엇을 만들까?궁금해하는 식구들의 시선을 받으며~


그 시선은 진정한 사랑이다. 이 일로 앤드루는 깨달은것이 하나 있을것이다.


친구들에게 각자 맞는 집을~원하는 집을 지어준것처럼 식구들에게도 각자 필요한것을 만들어주는것.


상대가 필요한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식구들과도 더욱 친밀해지지않을까 생각해본다.

닫기
이미지 로딩중...

 
height=1 src="about:blank" width=1 name=data_set>

섹션별 메뉴 플래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오랑과 세오녀 비룡소 전래동화 22
김향이 지음, 박철민 그림 / 비룡소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오랑과 세오녀 비룡소의 22번째 옛이야기 낙서장

2012/08/28 19:38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sharon617/130145869616

연오랑과 세오녀

 

달님은 알지요 의 김향이 작가님은 많이들 알고 계실것이다 .

그림작가 박철민님의 그림이 많은 독자들의 입에 오르내리는듯하다.

꿈꾸는듯한 그림의 색채감이나 옛스러움이 묻어나는 표현들이 마음에든다.

 

연오랑과 세오녀는 신라의 동해바닷가에 사는 부부이다.

둘은 서로를 의지하며 정답게 지낸다.

어느날 부부는 신비로운 꿈을 꾸게되는데 연오랑은 황금빛 해가 머리위에

내려앉고 세오녀는 하늘에서 황금비단이 내려와 온몸을 감았단다.

꿈 이야기를 입밖에 냈다가 헛된 꿈이 될까 조심스러웠던 연오랑과 세오녀는

꿈 이야기를 숨기고 자신의 일터로 향한다.

 

이는 하늘의 계획이고 뜻일까?

낚시를 간 연오랑은 거북이등 닮은 바위에 올랐다가 동쪽바다로 흘러흘러

섬나라에 닿아 그 섬의 왕이 되었다.

연오랑을 기다리던 세오녀도 같은 바위에 올랐다가 남편이 간 길을

따라가 왕비가 되었다.

 

이때 서로가 헤어진걸 안 순간 서로를 그리며 읖조리던 시조가 있다.

 

가네 가네 나는 가네

당신을 두고 나는 가네

원수같은 바람에 부부이별 웬말인가

갈매기야 널랑은 부디 날아가서

이내몸 떠나가도 마음만은 두고 간다 전해다오

 

어디로 가면 임을 만날까나

임계신곳 알면 어딘들 못찾아갈까

두리둥실 높이 솟은 저 달은

우리임 계신 곳을 비춰나주지

 

부부가 서로 그리워하고 헤어짐을 안타까워하는걸  하늘도 아시는지

세오녀 역시 남편을 따라가 만나게된다.

 

사실 연오랑 세오녀 부부는 신라의 해와달의 정기를 받은 귀한 사람이었다.

그들이 동해의 섬으로 떠나자 신라의 해와달은 빛을 잃었다.

신라의 왕은 사신을 보내 돌아와 달라 부탁하지만

하늘의 뜻을 받아들인 부부는 대신 황금비단을 선물한다.

세오녀가 직접 짠 황금비단으로 정성껏 제사를 올리고

해와 달은 빛을 찾았다.

이 황금비단을 보관한 왕궁의 곳간을 귀비고 라하고

    황금비단으로 제사 지낸곳을 영일현 이라했다.

영일현은 해를 맞이한 곳이란 뜻이란다.

 

우리는 늘 옆에 있는 사람, 매일보는 남편이라 귀함을 느끼지못할때가 많다.

내 곁을 지켜주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사람인데 제일 많이 투정부리고

뭐든 마땅히 받아야한다는 이기적인 마음뿐이다.

어린이 그림책 연오랑과 세오녀를 보며 시조와 그림 모두가

이 부부의 애절한 사랑을 잘 표현해준듯하다.

세오녀는 바닷가를 미친듯 헤매며 남편이 있는곳이면 어디든 찾아가겠단다.

서로의 그런 애절함이 함께할수있게 만들었고 그 눈물겨운 사랑이

하늘을 감복시켜 높은 위치까지도 허락하신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두더지 - 2012년 제18회 황금도깨비상 그림책 부문 수상작 비룡소 창작그림책 45
김명석 글.그림 / 비룡소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한 두더지

김명석 지음
비룡소 2012.06.07
펑점

행복한 두더지는 1992년 비룡소가 국내 어린이 문학계 최초로 설립한 어린이 문학상

황금도깨비상을 받은 책이다.

상 받은 책이 좋은 책이다 라고 규정 지을순없지만

이 책이 전하고픈 것이 무엇이기에~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고 어떤 생각을 불러일으키기에

멋진 황금딱지를 붙여준것인지 호기심을 일으키기엔 충분했다.

 

우선 책장을 넘길때마다 한장한장 빨려들게하는 그림이 있다.

짧은 글로도 그림이 있어 내용을 이해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내용을 보자면

나쁜 시력과 소심한 성격의 두더지.

사회생활하기에 치명적인 컴플렉스를 지닌 두더지는 함께 어울려살아보려 나섰지만

이내 포기하고 자신의 집으로 숨어버린다.

자신을 꼭꼭 감추고 자기안에 숨어버린 두더지.

혼자만의 생활을 하며 얼마나 외로움을 느꼈을까?

하지만 혼자만의 생활이 익숙해진 그는 다시 세상에 나갈 엄두를 내지못한다.

그 외로움과 우울을 집꾸미는일로 시간을 보내며 떨쳐버리려한다.

모든것이 갖추어진 아름다운집...

다 갖추어져있다한들 혼자인 그가 행복할수있을까?

 

하지만

난 여전히 혼자였어      (본문중에서)

 

두더지의 짙은 외로움을 느낄수있을것 같다.

그때 그를 찾아온 친구들...

그들의 방문으로 설레임을 느끼고 행복감에 젖어 잠이든 두더지.

 

모든것이 꿈일지라도      (본문중에서)

 

살짝 가슴까지 저려오는 더 깊은 외로움과 허탈감이었다.

 

똑똑똑

다시 희망의 소리가 들리지않았더라면 이 먹먹한 마음의 갈증을 해결하지못했으리라.

 

그림속 재발견은 8세 아들과 독후활동을 하기에 적합했다.

그림마다 두더지의 친구처럼,함께있는 빠알간 사과...

친구들의 방문과 함께 사라진 사과...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 다시 나타난 희망을 품은 사과...

 

너무나 당연히 나와 내 가족만을 바라보며 달려가는 내 삶을 돌아보게한다.

아이에게도 어른에게도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로 내가 정화하면 어느 순간엔 이기적인 나도 누군가의 마음을 두드리고

내민손을 따스히 잡아줄수있지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