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놀라운 조선 천재 화가들 - 우리 옛 그림으로의 초대, 증보개정판
이일수 지음 / 구름서재(다빈치기프트)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이 놀라운 조선 천재 화가들

 

 우리 옛 그림으로의 초대

이일수 지음 / 구름서채

 

 

 

간행물 윤리 위원회청소년 권장도서

행복한 아침독서 추천도서

서양그림과 다른 우리 옛 그림 감상법

 

안견, 신사임당, 정선, 김홍도, 신윤복, 장승업

 

책을 받는 날 나는 우리 옛 그림의 경이로운 세계로의 초대를 받았다.

사실 한국화보다 서양화가 좀더 쉽다고 흔히 말한다.

우리가 서양문화에 젖어서인지 한국화를 더 어렵게 여긴다.

그런데 이유가 있었다네요.

서양화나 한국화는 사물을 보는 눈, 그림에 대한 생각,방법이 모두 다른데

서양화를 보듯 한국화를 감상해서 지루하거나 재미없게 여길수밖에 없었답니다.

 

아직 아이들과는 미술관람을 해본 경험은 없고

박물관에 걸린 몇 점의 그림을 본 기억밖에 없는데

작품에 대한 이해나 지식이 부족하다보니 지나듯이 보기만 했네요.

 

이 책은 인견, 신사임당, 정선, 김홍도, 신윤복, 장승업

조선의 내노라하는 화가 여섯명의 그림을 보면서

각자의 화가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어떤 번득이는 아이디어로

어떤 시선에서 그림을 그렸는지~

설명을 듣고 ,생각하고,느끼고 ,내 생각까지 덧붙일수있도록 구성한 책입니다.

 

그림의 문외한인 제게 어떤 감상법을 알려주실지 너무나 기대가 되었습니다.

 

#한국의 명화로 알려진 그림과 사랑에 빠지는 법이 나와있는데

 

첫째, 화가의 성장배경, 어떤 집안,어떤 붕위기에서 자랐는지,

화가가 살던 당시 시대배경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봅니다.

 

둘째, 화가가 어떤 일에 관심이 있는지,그림속에서 숨은그림찾듯이,

화가의 실수가 없는지, 재치있는 표현이 없는지 꼼꼼히 살핍니다.

 

셋째, 우리의 명화에는 감상하는 사람과 조용하게 마음의 대화를 나누려는

정신이 담겨있습니다. 무슨 이야기를 하고싶어하는지 알아봅니다.

 

넷째, 20여가지의 그림그리는 표현법,준법이 있는데

산과 강의 선의 흐름은 어떤 준법이며

 인물을 표현하기위해 어떤 붓을 사용했는지 살펴봅니다.

 

다섯째, 비슷한 주제의 다른 화가 작품을 비교하며 감상하고 화면 구도,붓터치,

등장하는 소재의 크기나 다른부분을 분석해 봅니다.

 

여섯째, 한국의 문학,역사,사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살핍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밝은 미래는 없습니다.

 

 

 

 

화가가 추구하고 생각하는 작가의 배경을 알아봅니다.

어떤 시기에 어떤 주제를 가지고 어디서 영감을 얻어 그린 것인지,

시대에 유행하던 시의 의미도 살펴보고

어떤 스승을 두고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봅니다.

 

시대적인 유행을 타기보다 참고하면서

어떻게 자신만의 것으로 만드는가!를 연구하는 신사임당이야말로

숨결이 살아있는 그림을 그리는 화가임에 틀림없습니다.

신사임당의 그림이 담긴 이 책을 들고 신사임당의 그림이 걸린 박물관을 찾아보며

화가의 의도와 그림안에 세세하게 섬세한 표현으로 그린 그림을 감상한다면

한국화에 대한 우리의 잘못된 인식이 한순간에 날아가 버릴 것입니다.

당시의 사람들도 신사임당의 그림을 만난 후세의 사람도 칭찬을 아끼지 않은

신사임당의 그림속의 매력을 사진이 아닌 그림으로 관람하며

느끼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설명이

우리대보다 더 어려워할 한국화에 대한 거리감을 좁혀주어 만족스럽습니다.

아이도 어른도 함께 그림을 볼 수있는 방법을 찾은 듯싶습니다.

 

무엇보다 그림을 그리고 보는것의 중요한 점은

자세히 관찰하는데 있습니다.

 

바쁘다!바뻐! 모드로 살아가는 우리들이 쉽게 놓칠 수있는 것입니다.

자세히 관찰하지않고 대충 흩어보듯하고 안다고 말하는

우리의 잘못된 습관도 그림을 관람하는 태도를 수정하면서 달라질수 있을 듯합니다.

 

사실 그림을 잘 그리고 못 그리는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의 하나입니다.

잘 그리고 못 그리는 기법의 차이는 연습과 노력으로 충분히 만회할 수있겠지요.

중요한 것은 얼마나 자세히 보고 무엇을 느꼈는지~

그렇게 느끼고 자세히 관찰한 것을

어떻게 표현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한 화가의 설명을 끝으로 우리들이 주위에서 관찰한 것을

신사임당처럼 그림으로 표현해보자!는 활동 페이지가 있는데

포근한 봄날 자연이 꿈틀 움직임을 느꼈을때

아이와 함께 나가 관찰하고 표현해보기로 약속했답니다.

 

이렇게 화가 한분한분 알아가는 재미를 주고

우리의 옛 그림의 맛을 전해주는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