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권 독서법 - 인생은 책을 얼마나 읽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인나미 아쓰시, 장은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나는 이 책의 제목에 들어간 1만 권이라는 숫자보다




"독서란 수천의 문장 사이에서 나를 성장시킬 단 한 문장을 찾는 과정이다"라는 이 책의 수식어가 눈길을 끌었다.

혹시 어쩌면 현재 내가 읽고 읽는 방법일지도 몰라...라는 그런 끌림으로
이 책을 집어 들었다.
역시나 현재 내가 읽고 있던 방법과 매우 유사한 방법들이 많이 나왔다.

그럼 나는 왜 이 책이 필요했을까?
육아로 책을 많이 보지는 못하지만 틈나는 대로 짧고 굵게 스피드하게 책을 보고 있다.
어쩔 땐 책을 보는 것보다 목차 이동이 가능하고
 연구 배경, 연구결과만 빠르게 볼 수 있는 논문을 즐겨 보기도 한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취미가 뭐예요? 독서는 하세요?라는 질문에
대답할 자신이 없었다..


내가 읽는 방법이 어쩌면 수박 겉핥기 식일지도 모르겠다.
정독을 하지 않았으니..  읽었다고 말하는 게 거짓말일 수도 있으니..
그 책을 정독한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면
세세하게 토론할 자신이 없으니... 

하지만 1만 권 독서법을 읽은 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네.. 육아하면서 틈틈이 봐요.
하지만 정독은 안 해요. 1만 권 독서법이라는 책 보셨어요?
저는 저만 그렇게 읽는 줄 알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보기도 하더라고요.



책을 펼치기 전에 제가 찾고자 하는 해결책을 있는지 찾으려고 봐요.
그리고 그 책에서 맥락


그리고 제가 공감 가는 부분이 나오면 쓰기도 하고
나의 생활에, 나의 생각에 적용하고 유의미하게 해석하려고 노력하는 편이에요.
그리고 어떤 한 줄이 그 책에서 나에게 남았는지 또 왜 유독 그 한 줄이었는지... 내 생각을
공유할 수 있을 것  같다.




1만 권 독서법은 나에게 자신감을 주었다.
아.. 나만 그렇게 읽는 게 아니었어.
세상이 변하듯
나처럼 읽는 방법이 틀린 게 아니라 다르다는 것을
그리고 조금은 효율적인 독서법이라는 것을.





1만 권 독서법 책을 읽은 뒤에는 조금 더 최적의. 효율적인, 유용한 방법으로
독서를 하겠다고.

단 그러려면 책을 많이 읽어 상식과 사고를 넓혀야 한다. 그래야
맥락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니 말이야.

기린을 모르고 중간에 몸통이라는 기초 상식이 없다면
기린이라고 유추할 수 없는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