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혁신 이야기
김영근 외 지음 / 더블북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 더블북 / 공간혁신 이야기 /


 



이 책은 우리 아이들이 어쩌면 집 다음으로 많이 생활하는 공간인

학교의 교실 공간혁식 DIY 이다라고 말하고 싶다


지금은 여기저기성 창의성 개발이라는 말을 많이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래 사회의 인재를 길러내는 수업이 이뤄져야 할 공간인

학교가 아직도 여전히 획일화된 공간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연 아이들의 개성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찾게 해주기위해서는

어떠한 공간과 환경이 주어지면 좋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는 요즘

나는 이 책을 만났다



물론 이 책은 전교생 수가 적고 주변이 아이들의 창의력을 충분히

키울수 있는 환경이었다고 이야기 할수도 있겠지만

(물론 이렇게 변해가는 과정도 학교와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변화를 추구 했고

도왔기에 가능했지만 )

이 학교에서 만들어지고 이루어진 것을 토대로

꼭 학교가 아니더라도 우리 일상에서의 작은 변화가

있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우리 반 공간 바꾸기


교사와 학생들이 공간주권을 행사하기위해

교실을 자유롭게 디자인 한것을 보고

요즘 아이들 말로 정말 이거 실화임?~~이런 생각과 함께

이곳에서 마냥 뛰어놀고 꿈을 펼쳐갈 아이들이 떠오르면서

부럽기도 했다~

 


사진으로만 보는게 아니라 영상으로 볼수 있는 요 QR코드를 보면서

한편으론 이렇게 교사와 아이중심의 자율성을 가지고

만들어진 교실에 대한 자부심 또한 클듯하다는 느낌도 받았다~

 


이 책에서 배운 디자인씽킹~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과 사고의 흐름을 이야기 하는건데

교육현장에서도 많이들 이용이 되고 있다는걸 알았다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문제를 해결하는 태도와 사고방식 등으로 구성되어

교실 공간 디자인 수업을 설계할때도 디자인씽킹의 개념과 마음가짐에서 추출하여

 수업전략도 세울수 있음을 본다


 



현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에

90% 이상의 시간을 인공건축물에서 생활한다

이걸 생각한다면 앞서 말한바와같이

내 주변의 환경을 단지 생활하는 공간의 개념을 넘어

그 안에서 일어나는 삶의 경험과 질 향상을 생각해 보면서

작은것 하나부터 변화를 시도해 보는것도 좋을것같다~


나는 우선 아들의 방부터 둘러 보았다

예전엔 사실 엄마의 주권대로 방 가구나 위치 소품들을

두곤했는데

이번에는 아이와 함께 의논을 하고 있다

책상은 필요한지, 그럼 위치는 어디에 둘것인지

아이방에 있었으면 하는 소품이나 가구는 어떤게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있는데

어떻게 바뀔지에 대해서는 크게 기대하지 않지만

무엇보다 아이가 이 방에서 무척이나 행복해 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면~

아이가  스스로 내 방을 꾸몄다는

뿌듯함으로 하나씩 채워가는 재미를 느낄테니깐~~~


나는 이 책에서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견에 귀기울이는 모습에

무척 감동을 받았다

마냥 어리다고, 아이라고 그 아이들의

생각을 들어볼 생각 조차 못했기에~더 그러한듯하다


참 와닿는 말인데

아름다운 공간은 아름다운 사람을 만들고

아름다운 사람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든다~~~


이 말을 전하면서 이상 공간혁신 이야기 책 읽음을 마무리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