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서양고대사 - 메소포타미아·이집트 문명부터 서로마제국 멸망까지
정기문 지음 / 책과함께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서양 고대사>

 코로나 전부터 서양 고대사 중 이집트와 그리스 신화, 고대사 등 특히 그리스에 대해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책에 푹 빠져 있을 때부터 관련 책도 읽고 대학교 가서는 학교 도서관에 있는 이집트 고대사 읽었는데 재미있었습니다.

가끔 책들 중에서 어려운 책들도 있었는데 전공처럼 서양 고대사에 대해 배우지 않은 저로서는 어렵기만 했습니다. 그래도 신화(전설)나 역사가 재미있었기에 언어로 넘어가게 되었고 현재로 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서양 고대사를 기초부터 다룬 이 책을 알게 되었고 자세한 내용을 더 알고 싶어서 읽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작가님이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문명부터 서로마제국 멸망까지 다루며 고대 그리스 위주로 서양 고대사를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에서는 서양 문명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홀한 편인 (서문 중에서)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문명을 자세하게, 그리고 이 문명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와 발견했을 때의 이야기 등을 다룹니다.

 

모르는 문명을 자세하게 다루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몰랐던 내용들이 엄청 많았고 더 흥미진진했습니다. 작가님은 서문에서 많은 자료들을 다 찾아보셨지만 책의 몇몇 주제에 대한 좋은 안내 글을 찾을 수 없었기에 직접 여러 편의 논문을 작성하셨고 책의 초고를 완성하고도 2~3년 동안 확인하고 다듬으셨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더 전문적이면서도 읽기 쉽지만 있을 내용은 다 있는 책이 되었고 저처럼 서양 고대사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이든 관심 없지만 공부해야 하는 사람한테도 추천합니다. (영어 전공자에게도 추천. 왜냐하면 알파벳의 기원을 다루는 내용도 있기 때문입니다. 크게는 문자의 기원을 다룬다.)

 

<글귀>

서양인에게 메소모타미아는 그리움과 동경의 대상이다. - p. 21

 

이집트인은 하나의 자음을 하나의 상형 기호로 표기하는 방식을 발전시켰고, 기원전 제2천년기 (기원전 두 번째 천년기, 즉 기원전 2000~1001년) 후반 이집트 글자의 영향을 받은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여러 개의 알파벳 문자가 사용되었다. - p. 57

 

스파르타 시민들은 자신들이 호모이오이 homoioi라고 생각했는데, 이는 ‘동등한 사람’ 또는 ‘동료’라는 뜻이다. - p. 227

 

서양의 고대는 그렇게 종언을 고했다. - p. 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