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알베르 카뮈 전집 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9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꽃이 피면 시드는 운명을 피할 수는 없다. 그것이 아무리 고결하고 아름답고 후각을 마비시킬만큼 진한 향기를 지녔다고 할지언정. 화려하게 피어나지만 썩어서 흙이 되는 운명을 어떤 살아 있는 것이 피할 수 있을까. 인간에게 주어진 죽음의 숙명. 사라져야 하는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숱한 매장의 풍습이 만들어지고 그 두려움을 위로하기 위해 레퀴엠이 만들어지고 한이 서린 만가가 불려지더라도 죽음을 피할 수는 없다. 문제는 그런 운명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있는 것이 아닐까.

시련을 당한 욥은 그것을 하늘의 축복이라 생각했다. 오랑시의 파눌루 신부도 역시 신의 섭리이자 축복이라고 믿고 페스트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어린아이의 죽음을 통해 신의 영광과 섭리를 드러낸다? 아무래도 석연치 않은 느낌. 리외와 타루는 죽음의 운명을 달리 받아들인다. 어차피 떨어질 시지프 산의 바위지만 밀어올리는 순간의 의지는 인간적이다. 이방인의 뫼르소가 자신의 죽음을 알면서도 이를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었던 건 세속적인 삶에서 벗어나 죽음을 의지적으로 맞이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다른 모든 삶의 외피가 철저히 차단된 채 자신의 욕망과 의지만이 순수하게 남겨져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작품의 내용이 철학적 성찰을 담고 있는 것이어서 감상하는 데에 조금 벅찬 느낌이었지만 인간의 본원적인 조건에 대한 생각을 넓힐 수 있는 소설이었다. 물론 작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에 많은 무리가 있었겠지만 아마도 작가는 시지프의 신화와, 이방인, 그리고 페스트를 통해 신이 지배하던 인간에 대한 관념을 한 차원 다른 방향으로 돌려놓지 않았나 싶다.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성찰을 담고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