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알베르 카뮈 전집 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9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날 갑자기 사랑하는 자식들이 죽고, 함께 했던 아내가 세상을 떠났다. 열심히 키우던 가축들은 병에 걸려 쓰러지고 자신도 기와장으로 피부를 긁어도 시원치 않을 가려움증에 시달리게 된다. 성서에 나오는 동방의 의인 욥의 이야기이다. 욥은 한번도 불행한 자신의 운명을 거부하지 않는다. 모든 것을 하늘의 축복이라 생각하며 자신에게 내려진 재앙을 신앙으로써 극복해나간다. 시지프의 신화에서 카뮈는 욥과 견줄 만한 인물을 찾아낸다. 끊임없이 돌을 밀어 올리는 시지프. 허망한 고역의 운명을 피할 수 없는 시지프는 욥의 또 다른 얼굴이다. 그러나 카뮈는 운명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욥과는 달리 결과가 어찌되었든 순간순간 적극적인 의지를 지닌 인간 존재의 본질적 조건을 시지프로부터 찾아낸다.

카뮈는 이미 <이방인>에서 시지프 산을 오르내리는 것 같은 반복된 일상을 통해 인간존재의 허무함을 제시해준 적이 있다. 결혼, 우정, 사랑, 출세, 장례와 같은 삶의 외피야말로 헛된 욕망에 불과하며, 그런 까닭에 주인공 뫼르소는 무엇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자발적 의지를 발휘하지 않는다. 언젠가 굴러 떨어질 일상에 애착이 없었던 것이다. 어머니의 죽음마저도 뫼르소에게는 무덤덤한 장례절차일 따름이었다. 뫼르소가 단 한 순간 생의 의지를 느끼는 것은 그가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있었던 감방 안에서였다. 모든 삶의 외피가 사라지고 죽음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의지.

카뮈는 <이방인>의 뫼르소를 오랑이라는 도시로 옮겨 놓는다. 삶의 모든 가식적 행위들이 일시에 그 의미를 잃고 정지된 순간. 페스트라는 가혹한 운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오랑의 시민들은 바위를 굴려 올리는 시지프의 참담한 심정을, 온갖 악마의 저주를 견뎌야 하는 욥의 시련을 겪게 된다. 사랑하는 연인이 죽고, 가족이 죽고, 신의 사제도 페스트 앞에서 견디지 못한다. 심지어는 아무 죄 없는 어린아이의 목숨도 페스트는 예외없이 앗아간다. 만약 동방의 의인 욥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떠했을까. 신을 믿지 않는 무신론자라면, 혹은 살인을 저지르고 도피를 거듭하는 죄인이었다면. 작가는 운명을 받아들이는 다양한 인간들의 삶을 열거한다.

파눌루 신부. 페스트가 인간의 죄와 도덕적 타락으로 말미암은 것이라면서 시민들에게 회개를 부르짖는다. 코타르. 살인의 죄를 저질렀지만 오히려 활발하게 오랑 시를 거닐며 페스트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말기 암환자에게 교통사고가 뭐가 그리 큰 대수인가. 사랑하는 아내를 두고 오랑시에 억울하게 갇힌 신문기자 랑게. 그는 어떻게든 부인에게로 가서 사랑을 나누는 것이 가장 큰 생의 목적이 된다. 그리고 의사 리외와 여행객 타루. 페스트가 언제 끝나게 될지 모르면서도 페스트에 저항하는 자들. 어차피 죽게 될 운명에 놓인 환자마저도 그들은 포기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