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나무
한주미 지음 / 민들레 / 2000년 3월
평점 :
절판


스웨덴의 영화감독 베르히만의 마지막 작품이었던 [화니와 알렉산더]를 보면 의붓아버지인 주교가 엄격한 금욕과 규율로 알렉산더를 억압하는 대목이 나온다. 주교는 자신이 철저하게 공정하고, 올바르며, 정의롭고, 거짓이 없다고 생각하면서 타인에게도 이를 강요하는데 배우 아버지 밑에서 자유롭게 성장했던 알렉산더는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결국 주교는 알렉산더를 윽박지르고, 체벌하며, 아이를 다락방에 감금하기까지 하는데... 영화를 보면서 자꾸만 마음이 불편했던 것은 어쩌면 내가 몸담고 있는 교육현장에도 수많은 의붓아비들이 영화의 주교처럼 아동들을 컴컴한 다락방 속으로 내몰고 있지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였던 거 같다.

슈타이너와 발도르프 학교에 대해서 나는 잘 몰랐다. 그저 입소문으로만 자발성을 중시한다는 것만을 알고 있었을 뿐이다. [노래하는 나무]는 나처럼 발도르프나 슈타이너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참 편한 지침서가 되는 것 같다. 저자가 직접 체험한 발도르프 학교에 대해 간간이 사진을 넣어 수필처럼 쉽게 써 내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공교육의 문제가 교육 과정 속의 낡은 지식과 그것을 전달하는 낡은 기술, 그리고 열악한 환경 때문이라는 나의 생각도 이 책을 보고 난 이후 많이 달라질 수 있었던 것 같다.

발도르프 학교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은 아동의 자발성을 이끌어내는 데에 있다. 그것은 지식을 아는 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감각의 자발성까지 의미한다. [머리로 검열하지 말고 손의 감각을 믿을 것], ['도'하나를 치더라도 그 음의 아름다움과 느낌을 가질 것], [공간 속에서 몸의 리듬을 느낄 것] 등. 신체 감각의 자발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발도로프에서는 예술교육을 중시한다. 데생과 직조, 유리드미, 조소, 인형만들기, 노래부르기는 슈타이너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듯하다. 감각의 자발성은 관계의 자발성으로 이어져 축제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학생들의 결정을 교사는 그 과정이 훌륭하다며 존중해준다. 발도르프 교육을 유럽에서처럼 우리 나라에서 하기에는 무리가 많겠지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몇 가지를 깨달았다.

우리 나라 공교육의 문제가 아동, 학생들을 불신하고 미성숙하다고 바라보는 시선 속에 있다는 것. 베르히만 영화의 주교처럼 아동을 자기 입장에서 깍고 다듬으려는 욕심 속에 있다는 것. 교사와 학생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아니라는 것. 사랑하는 사이처럼 사심이 없고, 이해가 깊고, 장난스럽고 때로는 놀려주는 사이가 아니라는 것. 엄숙하고 무겁고 서로에게 기대와 욕망이 없다는 것. 교사 스스로 명상이나 독서를 통해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이 스스로 예술적인 안목을 길러내지 못하는 데에 있다는 것. '나'를 구원하지 못하는 사람이 어떻게 '타인'을 구원할 수 있을까. 입시를 앞둔 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지만, 국가가 강요하는 교과과정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사람은 다름 아닌 '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학생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행여라도 잊어서는 안되겠다는 다짐이 든다.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우리 자신과 세계를 배울 기회를 가지는 것이다' 감사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