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읽기의 혁명
손석춘 / 개마고원 / 199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손석춘의 신문 읽기의 혁명.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는 '다매체 시대의 언어활동'이라는 단원이 들어 있다. 이 단원에서는 신문과 광고,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언어활동을 이해시키려는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지가 녹아 있는 듯하다. 그러나 뭔가 아쉽다는 느낌은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교과서를 지필하는 이들이 신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특성 및 편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 같고, 신문 기사를 단순히 기능적인 입장에서만 접근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교과서라는 한계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지나치게 가치중립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점, 정치적 당파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점 등은 이번 국어교과서에 대한 아쉬움을 떨쳐버릴 수 없게 한다.

손석춘의 '신문 읽기의 혁명'은 출판된지 상당한 세월이 흐르긴 했지만 국어과에서 신문읽기를 가르치기 위한 매우 적합한 부교재인 듯 싶다. 글쓴이가 오랜 동안 기자 생활을 한 경험을 살려서 신문 편집, 취재는 물론 신문과 정치권력과의 관계 또한 신문과 자본의 관계 등을 자료를 활용하여 매우 자세하고 꼼꼼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각 중앙 일간지를 비교 검토하면서 편집이 얼마나 신문 읽기에서 중요한지가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또한 잘못된 기사와 편집이 우리 사회에서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를 공고하게 하고 독재 권력에 부침하게 되는지도 꼼꼼하게 펼쳐보이고 있다.

중앙 일간지를 비교, 대조하면서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다른 논조를 살펴보는 것도 학생들에게 신문을 읽는 좋은 본보기가 되는 것 같다. 너무 늦게 이 책을 접하게 된 것은 후회스럽기만 하다. 앞으로 학생들에게 보다 더 정확하고 가치 있는 신문 읽기 방법을 일깨워줄 수 있을 것 같고, 더불어 안티조선운동이나 최근 한나라당과 MBC, 한겨레와의 갈등도 학생들에게 설득력 있게 설명해줄 수 있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읽으면서 우리 신문의 수준이 얼마나 낮은가를 새삼 깨달았으며 하루 빨리 기자의 정신, 편집의 정신이 올곧게 되살아나 신문의 수준이 높아지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