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 창비시선 194
김선우 지음 / 창비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기 거부한다면>은 우선 야하다. 김선우의 시들은 대개가 너무 솔직할 정도로 야한 편이다. [얼레지]의 처음은 '옛 애인이 한밤 전화를 걸어왔습니다./자위를 해본 적 있느냐/나는 가끔 한다고 그랬습니다'라고 시작하고 있고, [내력]의 마지막 부분은 '어머니의 비알밭은 어린 여자아이의 밋밋하고 앳된 잠지를 닮아 있었네'로 되어 있다. 예전에는 함부로 꺼내기 어려운 말들이 당당한 시어의 옷을 입고 작품 속에 등장한 셈이다.

내밀한 기억, 수치스러운 과거, 남이 혹시 읽어볼까 두려움이 떨면서 적어내려가던 첫날밤의 기억. 시인은 이제 이것들을 세상 밖으로 꺼내놓는다. 사적인 이야기를 밖으로 내던져 나의 삶은 이러이러했다라는 충격적인 고백을 내뱉는 것이다. 이것은 90년대 초반, 최영미가 남성에 대한 복수극을 준비하던 때와는 다르다. 이런 구절은 어떨까.

'물마루 위에 지등을 띄웁니다 / 이 별의 어디엔가 / 고래들이 죽으러 돌아오는 해안이 있다지요 / 허파와 자궁의 기억을 못 버릴 줄 알면서 / 고래는 왜 바다로 가야 했을까요 / 두 마리의 고래가 죽었습니다 어젯밤 꿈에 / 작살을 꽂은 채 오래도록 떠돌아온 / 큰 고래 자궁 속에 새끼고래가 죽어 있었습니다 / 놀이터와 가로수길을 적시며 흘렀습니다 / 해안은 먼데 / 죽은 집이 벌써 서늘하였습니다.'

알쏭달쏭하기만 한 이 구절은 어느날 밤 꿈을 꾼 이야기를 써내려간 것으로 되어 있다. 그녀의 꿈 속에는 한 마리도 아닌 두 마리의 고래가 나오는데 단어에서 연상되는 것은 분명 남자의 성기이다. 자궁 속에서 남자가 죽었다. 그 까닭은 '죽은 집' 때문이다. 곧 자궁이 죽었기 때문에 새끼고래가 죽었고, 결국 여성성이 파괴된 공간에서 남성 역시 생명력을 상실한다는 의미로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녀의 시에서 보이는 성과 관련된 표현은 곧 여성성의 복원을 위한 한 준비인 셈이다.

좀더 치밀하게 텍스트를 읽어가야 할 터이지만 김선우 시인이 보여주는 온갖 시적 어법은 여성성을 드러내기 위한 다소 거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제 남성성과 여성성은 서로 동등한 입장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야 할 때이다. 그것은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내밀하고 수치스러운 부분으로까지 확장되어야 한다. '수치'가 '금기'가 되었던 시대는 이제 종말을 고한다. 수치도 결국 사람이 만들고, 제도가 만들어놓은 것이 아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