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 우리 집에 오기까지 우리학교 어린이 교양
엠마뉘엘 피게라스 지음, 릴리 라 발렌 그림, 이정주 옮김 / 우리학교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기가

우리집에 오기까지


글;엠마뉘엘 피게라스

그림:릴리 라 바렌

아주 독특한 채색의 그림책을 만나 보았어요.

전기가 우리집에 오기까지


도시에서 볼수 있는

호텔,시청, 문화센터, 경찰서, 우체국 등등

소개되어 있어요.


오늘의 집

가전제품,온수탱크,에어컨,

난방장치, 화장실, 욕조,쓰레기통 등에 대해 소개되어 있어요.



가스나 석탄같은 화석연료는 대기 오염을 일으켜요.

태양열을 지구 표면에 가두어 기온을 상승시키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거든요.

전 세계 모든 집에서 온실 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면

대기는 더더욱 빨리 오염될 거에요.



전기가 우리집에 까지 오는 과정도

그림으로 잘 설명이 되어 있답니다.


우리가 편하게 사용하는

없어서는 안되는 전기

전기는 우리집에 오기까지 긴 여행을 한다고 해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고압선과 중압선을 거치면서 전압이 조절되고,케이블을 통해 집까지 와요.

전기를 만드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연료는

석탄,천연가스나 석유랍니다.

요즘은 바람이나 물 ,지열, 바이오 연료, 태양열 등

재생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요.






수돗물은 항상 자연에서부터 집까지 흘러와요.

호수.강이나 지하에서 퍼 올린 물은 정수 센터를 거치면서 세균, 쓰레기, 오염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돼요.

물의 소중함은 잘 알고 있었지만,

물이 이렇게 순환되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인터넷

1969년에 발명된 인터넷은 전 세계 수십억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네트워크에요. 케이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는 공유기로 검색된 요청은

땅속이나 해저에 묻힌 케이블을 타고 여러분이 찾는 인터넷 사이트가 있는 데이터 센터까지 초고속으로 전달돼요.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교통수단.

자동차, 자전거, 지하철

잘 알고 있는 것들을 설명해주서서 재밌었어요.






도시 근교 지역

도시 인구가 늘수록 주택이 부족해져요.

그러면 도시 근교에 새로운 지역이 생겨요.

도시 근교지역은 교통 체증이 심해요.


미래의 도시에는

어떤 집이 있을까요?

제로 에너지 주택이라는 친환경적인 주거 형태가

이미 지어지고 있어요.

지붕에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발전기를 설치해

전기를 이용해요

집은 흙이나 나무처럼 친환경 자재로 짓는데,

바깥 기온을 좀 더 잘 막아 주는 단열재에요.

그래서 실내가 아주 춥지도,

아주 덥지도 않아요.










우리가 앞으로 살아가야할 환경은

많이 달라질 거라고 생각해요.

친환경 소재 자연을 이용한 주거시설들도 생겨날 것 같고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소재들도 나오겠죠!!



아이들이 잘 알수 있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쉽게 잘 이해할 수 있었구요.

많은 생각이 드는 책이었답니다.





#이 책은 도치맘에 선정되어 (주)우리학교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직접 읽어보고 올린 후기입니다 #



#전기의소중함
#우리학교어린이교양
#물과전기가없다면
#엠마뉘엘피게라스
#도치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