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꽃같이 돌아오면 좋겠다 - 7년간 100여 명의 치매 환자를 떠나보내며 생의 끝에서 배운 것들
고재욱 지음, 박정은 그림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신이 꽃같이 돌아오면 좋겠다.

7년간 100여명의 치매 환자를 떠나보내며 생의 끝에서 배운 것들.

고재욱/박정은/웅진지식하우스

이 책은 치매 노인들을 돌보는 한 요양원의 보호사가 일을 하면서 있었던 일들, 교훈들 등등을 적은 책이다. 사실 보호사란 직업은 우리 주변에서 접하기 어렵다. 치매 노인에 대한 이야기는 말로만 들어봤지 익숙하지도 않으며, 치매 노인들을 보살피는 업무를 하는 보호사의 업무는 더더욱 들을 기회가 별로 없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 나는 최근에 나온 드라마인 사이코지만 괜찮아를 보면서 김수현이 맡은 역할인 보호사라는 말을 처음 들어보았다. 처음엔 보호자라고만 들었지만, 계속 들어보니 보호사였다. 간호사는 들어봤는데, 보호사는 무엇일까? 궁금했다. 때마침 당신이 꽃같이 돌아오면 좋겠다.”라는 책을 접하였고 내가 궁금해했던 보호사의 일이 바로 여기에 담겨져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표지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음을 따듯하게 해주는 그림들이 삽입되어 있어, 눈도 즐겁고 안 그래도 술술 읽히는 이야기가 그림으로 더더욱 생생하게 머리에 들어올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에 실린 여러 치매 노인들의 이야기가 나를 얼마나 자주 울렸는지 모른다. 평소에 효심이라고는 별로 찾을 수 없는 나인데도, 읽으면서 눈시울이 자주 붉어졌다.

 

읽으면서, 지금은 내가 젊지만 나도 언젠가는 저렇게 나이를 먹고 죽음을 기다리게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나 죽음의 순간이 온다. 분명 나에게도 죽음이 올 때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특히 젊은 사람들은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분명 각자 자신이 원하는 죽음이 있기 마련이다. 나도 적당히 나이 들어서 아픈데 없이 자면서 죽는 자연사가 가장 깔끔하겠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하지만 그게 맘처럼 쉽겠는가.. 치매 노인들이 자신이 치매 노인이 될 거란 것을 알았겠는가..

 

많은 노인들은 한 평생 자식들을 위해 뼈 빠지게 일하고 벌며, 요즘 말로 등골이 부서지면서자식들을 훌륭하게 키우고는 일을 할 수 없게 되면 짐이 되지 않기 위해 스스로 요양원을 택하기도 한다. 요양원에 들어가려면 정해진 요양등급을 넘겨야 들어갈 수 있는데. 짐이 되기 싫어서 일부러 기억을 못하는 척, 아픈 척하면서 요양원에 들어간다. 자식들은 아마 알면서도 말리지 않는 게 아닐까 싶다. 물론 거동이 불편하신데 하루 종일 보살펴 줄 수 없는 상황이면 요양원에 가시는 게 맞다고는 생각이 든다. 그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머리로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 상황이 언젠가 나에게도 온다면 마음의 죄책감이 들 거 같다. 만약 내가 늙어서 거동이 불편해지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분명 내가 생각한 노후는 요양원이 아닐텐데.. 분명 우리 부모님이 생각한 노후도 요양원은 아닐텐데.. 많은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는 노인이 요양원에 들어가면, 보통은 돌아가실 때 돼서 나온다고 으레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그렇다. 하지만 옆 나라인 일본은 그 반대이다. 일본은 치매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치매는 한자로 어리석고 미련하다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이 단어 대신 인지증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일본은 요양원을 늘리기 보다는 지역사회에서 인지증 환자를 피하지 않고 불편한 부분들을 재활 등을 통해 치료하고 다시 가정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노력들을 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치매 환자는 사회에서 분리시켜 요양원에 가두고 요양원의 수는 더욱 늘리고 있다. 과연 이 방법이 맞는 것일까? 요양원은 많아지지만, 보호사의 수는 노인들의 수에 비해 훨씬 부족하다. 1명당 몇십명은 상대해야하는 꼴이다. 심지어 보호사의 처우도 좋지 않아 보호사의 수가 급격히 늘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사이코지만 괜찮아로 보호사라는 직업이 널리 알려지고 사회에 좋은 영향을 가져왔으면 한다.) 요양원을 늘리는 것이 과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는 왜 노인과 사회를, 가정을, 자식세대들을 분리하는 모습이 보이는 것일까.. 그리고 노인들은 자신을 짐이라고 생각하고 자식들에게 오래 사는 것에 대해 미안해하면서 스스로 요양원으로 걸어 들어갈까.. 젊은 사람들에게 죽음에 대해 물어보면, 쓸쓸히 요양원에서 살다가 가고 싶다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자신의 죽음은 축복과 행복이 가득했으면 하는 게 사람 마음이다. 숭고한 죽음이 언제부터 자식들의 짐이 되었고 우리 사회에서 내몰린 죽음이 되어버린 걸까.. 고령화 문제가 심각화 되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 우리 세대는 어떤 결정을 내려야 현명한 걸까? 생각이 많아진다.

 

저자가 담은 여러 노인들의 삶의 이야기들, 특히 가장 기억에 많이 남아 매일매일 새롭게 해주는 이야기는 이 한권에 하나하나 쌓아 올려졌다. 노인들은 하나의 역사, 하나의 박물관과 같다. 그들의 인생은 분명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여러 인생의 교훈들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마치 바벨의 도서관처럼 말이다. 같은 경험을 했어도 다 각기 다른 교훈들을 얻어 갔을 것이고 인생의 다양한 경험들을 삶을 살아나가면서 채워져 나갔을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을 필요가 있다. 사실 이건 나 자신에게 당부하는 말이다.

 

책을 읽으면서 시골에 계신 친할머니 생각이 많이 들었다. 할머니께서는 자기 이야기를 많이 안하시고, 아파서 서울로 올라오실 적에도 항상 미안함을 감추지 못하셨다. 늘 자식들에게 짐이 되는 것을 미안해하시고 손녀 손자들과 전화를 할 때에도 항상 근황만 간단히 물어보시고 금방 전화를 끊으셨다. 자식들의 시간을 많이 잡아먹은 거에 대해서 미안하신 듯 하셨다. 항상 살갑지 못한 성격 탓에 연락을 많이 못 드려서 죄송했는데 앞으로는 안부 전화 많이 드려야겠다. 나에게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와 이에 관련해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 당신이 꽃같이 돌아오면 좋겠다.” 저자께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