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발칙한 예술가들 - 스캔들로 보는 예술사
추명희.정은주 지음 / 42미디어콘텐츠 / 2021년 8월
평점 :
절판


 ‘발칙’ 그리고 ‘예술’
이 두 단어가 나란히 놓여 있는 책의 제목에서
나는 어딘가 어색한 느낌이 들었다.
예술과는 다소 상반된 발칙하다는 표현이 과연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지 궁금해졌다.

‘서양 예술사를 빛낸 30인의 삶과 사랑’
이 한줄의 문구를 통해 평소에도 예술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작품에 관한 이야기 그 보다 더 깊이, 예술가들의 삶을 면밀히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다.

서양 예술사에 있어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명작들을 만들어낸 예술가들의 삶과 사랑이야기.
말만 들어도 꼭 읽고 싶은 주제였다.

우선 이 책은 음악가와 미술가 두 분야로 나뉘어진다.정은주,추명희 두 명의 작가가 한 분야씩 맡아 예술가 한명한명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야기가 시작되는 첫 장마다 QR코드를 포함해 두어, 독자들이 해당 예술가의 음악을 직접 들고 그림을 감상 할 수 있게끔 장치를 마련해 둔 것도 좋은 시도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음악가들의 이야기 중에서 제일 관심을 가졌던 인물은 브람스였다.사랑이라는 주제에 제일 걸맞은 인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슈만의 부인이었던 클라라에 대한 지고지순한 사랑은 이미 너무나도 유명한 일화이기도 한만큼 이번 책에서는 어떤 이야기를 다룰지 궁금했다.

자신의 스승 슈만의 아내였기에 마음껏 표현을 다해 사랑할 수 없었던 클라라와 달리, 아가테 폰 지볼트와 첫눈에 반해 시작한 연애와 사랑 하지만 결국 끝이 있는 이야기. 그 아쉬운 끝맺음은 내가 사랑에 관해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 해보게 되었다.

좋아하던 예술가들의 작품활동과 더불어,
그들의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들을 통하여
작품을 예술가들의 삶의 배경과 인연에 비추어
다시 한번 감상해본다면 같은 사람의 이야기라는것을 떠올리며 또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며 이 책을 모두에게 추천하고 싶다.

마무리로 그들의 작품과 유명세에 가려졌던 인생의 희노애락에 담긴 이야기들을 책 한편으로 만나볼 수 있어 책을 읽는 하루가 매우 뜻깊은 시간이 되어 즐거운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를 구할 가장 작은 움직임, 원헬스 - 구독자 52만 명의 시사친구 듣똑라가 말하는 인간·동물·환경의 공존 방식
듣똑라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본인은 나름 환경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 환경문제에 대해 기민하게 반응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은 최대한 실천하자는 나름의 신념이 있었다.

하지만 '원헬스'라는 단어는 이번에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 저자 듣똑라의 책인 [우리를 구할 가장 작은 움직임, 원헬스] 의 책을 통해서였다.


먼저 책의 표지에 작게 쓰여있는 <인간,동물,환경의 공존 방식>이라는 한줄의 문장에 호기심이 발동했다.

인간,동물,환경이라.. 책의 주제가 다소 어려운 이야기들이 주가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잠시,

책을 한장씩 읽어나가니 유튜버 '득똑라' 팀원들과 기자분들의 대화를 그대로 옮겨놓은 뉴스 인터뷰를 글로 보는것 같았다.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진 책의 본문 첫장에는 내가 그토록 궁금해하던 '원헬스'라는 뜻을 홍상지 기자의 물음에 답하는 듣똑라 팀원들의 대답과 함께 시작한다.


원헬스-간단하게 말하자면 인간,동물,환경 모두의 건강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질병 예방을 위해서는 이 모두의 건강을 통합 관리해야한다는 개념이다.

좀 더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말하자면,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하여 지구촌 전세계의 인구가 이전과는 전혀 다른 통제된 일상, 유례없는 팬데믹 상황에 놓여져 있는데

이렇게 존재만으로 인구를 위협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바로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것이다.

즉 사람과 동물 사이의 상호 감염이 되는 질병으로 인간이 하는 행동들이 동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또 그것이 결국 우리 인간에게 큰 피해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뜻이다.

이것이 우리가 원헬스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이다. 


지금까지 우리를 위협한 인수공통감염병은 이번 코로나19가 처음이 아니다.

우리를 위협했던 수 많은 악명높은 질병들이 인간과 동물의 접촉으로 인해 확산이 시작된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사스,조류독감,신종플루,메르스,에볼라,코로나-19>까지 시대를 유행하던 전염병들은 모두 인수공통감영병에서 비롯된 질병이었다.

나조차도 이렇게 많은 질병들이 사회의 발전으로 갑자기 나타난 큰 질병으로 인식했을 뿐,

동물과 인간의 접촉으로 서로 질병을 전달하고 확산하는 매개체가 되어 퍼져나갔다는것을 어렴풋이 뉴스에서 들었을뿐 정확히는 알지 못했다.


그래서인지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생소한 단어를 접하고부터 잠시 충격에 휩싸였다.

뉴스에서 크게 시사하고, 실제로 우리의 생활 양식을 바꿔버릴만큼 모두가 두려워하던 질병들이 인간 사회에 퍼지는 과정들을

책을 통해 세세히 알게 되고나니 점차 무거운 마음이 들었지만, 동시에 우리가 원헬스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 이유,

작지만 강한 움직임들을 먼저 일상에서부터 시작해야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이미 우리가 먹고 사용하고 쓰는 많은 것들을 당연시하게 누려왔으며,

동물과 자연에게 피해를 입히고 문제가 된다는것을 인식하면서도 지금껏 인간중심의 생각과 행동에서 동물과 자연을 대해 왔다.

인간이 동물과 자연에게 행했던 일들이 업보가 되어 언젠가 다시 인간에게로 돌아오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반드시 명심함과 동시에

단순히 인간에게 돌아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함이 아닌

감정을 가진 포유류인 인간으로서 동물복지, 환경보전에 대해 되돌아보고 개선의지를 다시한번 다짐할 수 있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