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줄 감상 평 : 다시 태어나고 싶었으나 다시 죽어버린 사내

 

 

참... 원래 이런 성격이 아닌데

답답하기도하고 반성감과 죄책감이 머리를 사로잡아서

그 생각을 떨쳐내기 위해 책 한 권을 집어 들어 읽었다.

그리고는 단숨에 다 읽어버린 책, 빅 픽처.

 

 

 

 

 

 

 

  우리는 우리가 하고싶은 것을 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진부한 물음이지만 우리가 살아가며 겪는 문제들의 대다수는 결국 이 문제와 엮어져 있다.  더 넓게 보자면, 우리는 지금 행복한가라는 질문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 근원적인 메시지를 더글라스 케네디는 현대인들에게 다시 한번 던지고 있다. 소설속 주인공인 벤은 도시에서 화려한 변호사로 일하고 있지만, 사진에 대한 열망을 여전히 포기못한 채 살아간다. 그러나 그가 안정적이라고 생각했던 삶은 결국엔 안정적이지 못했다. 자신의 꿈도, 아내의 꿈도 충족되지 못하자 결국 그들의 삶은 삐걱댈 수밖에 없었다. 아내의 모습은 곧 자신의 모습이었고, 아내의 몰락은 곧 자신의 몰락과도 같았다. 그 와중에 그래도 아내는 불륜이라는 출구를 찾아냈지만, 그 어떠한 출구도 찾아내지 못한 벤은 결국 돌이키지 못할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바로 살인이다.

 

  하지만 우연의 계기인지 살인 후 그는 다시태어날 수 있게되었다. 절벽으로 떨어졌다고 느꼈을 때 다시 시작된 그의 삶은 그가 잃어버린 꿈들을 되찾아나가는데에 기폭제가 된다. 살인이란 분명히 윤리적으로 보면 분명히 지탄받아 마땅할 일이다. 하지만 읽는이는 어느 순간부터 그의 치밀한 계획들을 응원하고 그가 성공할 때 마다 짜릿함을 느끼게 된다. 왜일까? 그것은 아마도 우리가 할 수 없었던, 사회적 여건에 의해 포기해야 했던 인생을 다시 되찾아가는 벤을 보며 묘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그를 통해 나를 돌아보고, 나를 찾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일생을 찾았던 벤은 살인이라는 올가미에서 쉽게 벗어날 수 없었다. 경찰의 수사에서는 무사할 수 있었지만 세상에 사진가로서 알려진 게리가 알고보니 벤이었다는 사실을 주변인들이 알아채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결국 그는 다시 죽어버렸다. 목숨을 잃지는 않았지만, 다시 재기할 수는 없었다. 잃어버린 사진가로서의 열망을 찾아가는 순탄대로에서 그가 바로 추락했다는 것은 무엇을 상징할까? 이는 작가가 제시하려했던 메시지와 분명 관련되어있다. "되돌아 갈수 없다"는 메시지이다. 이는 소설 속 벤이 존경했던 잭이라는 인물의 대사에서 잘 드러난다. 언젠가 죽는다는것 조차 생각하지 않고 살아왔고, 그 결과 더 이상 환상조차 품을수 없게 되어버려서 인생이라는 도로에서 완전히 비껴나버렸다는 그 대사. 더글라스 케네디는 이를 강조하고 싶었을 것이다. 누구나 꿈대로 살고 싶었으나 인생이라는 도로에서 빗겨나가기 시작한 현대인들의 모습을 꼬집은게 분명하다. 이 길을 되돌아가면 다시 잘 해 볼 수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럴 수 없다고, 실패만이 기다리고 있다며 우리에게 냉혹한 현실을 깨우쳐 주고 있다. 다시태어날 생각일랑 접어두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작가는 이와동시에  또다른 교훈을 주고있다고 생각한다. 되돌아갈수는 없는 길이다. 다시 태어날 수도 없다. 하지만 지금의 너의 위치를 깨닫고 지금부터라도 똑바로 걸어가라는 것. 버릴것은 버리고 진짜 너의 인생을 살아가라는 교훈. 만약 벤이 망가져버린 인생에 집착하지 않고 진즉에 몬테나주로 갔다면, 그는 성공한 사진가로서 제2의 인생을 살 수 있었을 것이다. 어찌되었든 무명의 게리를 일약스타로 만들 저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시태어나고싶어서 되돌아간 인생은 수많은 대가를 요구했고 되려 더 큰 절망만을 낳았을 뿐이다. 인생의 정도를 정확히 지켜가지 않은 결과이다.

 

  참 무엇이라고 말하기 힘든 소설이다. 추리장르와 오묘하게 섞어서 우리에게 진짜 너의삶을 지금부터 살아가라고 전하는 듯한 작가의 메시지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잘 모르겠다. 아직 내 꿈을 정할 수 있는 나이여서 공감도 쉽게 되지 않지만, 소설 속 이 대사는 분명히 뼈에 묻어 보관하며 살아가야 겠다. "이제는 더 이상 환상조차 품을 수 없게 됐어. 인생이라는 도로에서 완전히 비껴난 것이지."

 

 

  한편 소설을 읽다가 인상깊은 장면 하나가 생각난다. 사진 한장으로 유명해진 게리가 또다른 사람으로 태어나 사진으로 데뷔하려했지만, 게리아닌 무명의 또다른 인간은 사진가로 취급조차 안해주는 냉철한 현실. 수 많은 재야의 예술가들이 쉽게 데뷔할 수 없는 이유가 단순히 인지도 차이이고, 무명에게는 그 인지도 조차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현실은 예술가로서의 삶이 씁쓸하구나. 자본의 힘이 결국 자신의 삶을 다른 곳으로 인도하고, 그 꿈을 누르며 살아가게 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게했다. 결국 구조의 문제인 것이다. 바뀌지 않는 사회체제의 문제이다.

 

 

 

* 내가 뽑은 명문구 *

 

-49p) "이제 와서 가장 참기 힘든 게 뭔지 아나? 언젠가 죽는다는 걸 생각하지 않고 살았다는 거야. 변화를 모색하거나 새로운 기회를 찾아 나서거나 다른 생을 꿈꿀 수 없는 순간이 찾아오리란 걸 알면서도 나와는 전혀 관련 없는 일인 양 살아왔다는 거야. 이제는 더 이상 환상조차 품을 수 없게 됐어. 인생이라는 도로에서 완전히 비껴난 것이지."

 

-117p) 누구나 인생의 비상을 갈망한다. 그러면서도 스스로를 가족이라는 덫에 더 깊이 파묻고 산다. 가볍게 여행하기를 꿈꾸면서도, 무거운 짐을 지고 한 곳에 머무를 수밖에 없을 만큼 많은 걸 축적하고 산다. 다른 사람 탓이 아니다. 순전히 자기 자신 탓이다. 누구나 탈출을 바라지만 의무를 저버리지 못한다.

 

-431p) "한번 큰 상실감을 겪고 나면 모든게 쉽게 깨어질 듯, 부서질 듯 보이지. 더 이상 행복을 믿지 않게 돼. 좋은 일이 찾아와도 조만간 사라지게 될 거라 생각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