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 정석 - 무에서 유를 만드는 10가지 빡신 기획 습관 기획의 정석 시리즈
박신영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기획의 정석


박신영

 



한 줄 감상 평 : 기획의 정석

 

 

 

 

 

  평소에 숱하게 마케팅 기획 서적으로 여기저기서 추천하던 기회의 정석. 때마침 알라딘에서 그녀의 다른책 "보고의 정석"과 세트로 사면 파격 할인을 하던 탓에 기회다 싶어 구입했다. 그리고 그녀의 너무나도 매력적인, 그리고 논리적이고 매끄러운 기획서 작성법을 알게되었다. 

 

  사실 알고보면 당연히 지켰어야할 기획서의 흐름을 그동안 참 많이 놓치고 살았구나 라는것을 깨닫게된다. 그동안 제출했던 수 많은 공모전의 노력들이 실패로 끝났을 때 마음속으로는 "음.. 뭔가 부족했군"이라며 수긍만하던 내모습을 지켜보기라도 했다는 듯이, 왜 실패할 수 밖에 없었던 기획인가를 뼈저리게 체감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녀가 지적했던 내 기획서는 WHAT만 강조했던 기획서였으며, "프레임"을 위한 "프레임"만 나열한 실속없는, 두루뭉술한 기획이었다.

 

  이 책을 읽고나니 놓치지 말아야 할 기획의 논리와 흐름, 아이디어의 구체화가 어떤 단계를 지나 구성되어야만 하는가가 좀 명확해 진 것 같다. 그렇기에 난 이 책을 책 이름 그대로 "기획의 정석"이라 부르고 싶다. 수학을 풀이할 때 수학의 정석을 먼저 펼쳐보았던 것처럼, 보다 많은 기획자들이 이 책, 기획의 정석과 친근해지길 바란다. 

 

  더불어 사이사이에 껴있던, 특히나 에필로그에 써있던 그녀의 말들이 어쩐지 그동안 찌질한 기획만 해왔던 나에게 위로를 던지는것 같아 눈물났다. 그래 난 잘못된 게 아니었다. 무한 YES로 시작하겠다. 그녀의 말처럼 수많은 실패들에 좌절하는것이 아닌 왜 잘못되었는가를 끊임없이 탐구하고 시작하는 실천가가 되겠다!

 

 

 

* 감명 깊은 문구들 *

 

  “회사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어.” “여자를 잘못 만났어.”, “이게 다 엄마 때문이야.”, “내가 너를 어떻게 기다렸는데.”, “내가 너를 위해 어떻게 견뎌냈는데.” 라는 삶의 끝자락에서 하는 이런 고백들은 얼마나 슬픈가내가 언제 행복한지를 알고 남들이 뭐라고 하든지 이건 나에게 맞는 거니까라고 할 수 있는 즉 very me를 아는 사람이 승자이다엄마가 되라는 나 말고애인이 바라는 나 말고회사가 요구하는 나 말고, very me를 위해 의미 있게 살자

  유튜브의 창업자인 스티브 첸이 모두 다 갖춰서 시작하는 것은 이미 시작이 아니다라고 한 말은 오늘도 나를 멈추지 않게 한다이와 관련하여 큰 교훈을 주신 폴앤마크의 이대일 팀장님의 이야기를 잠시 해보겠다팀장님은 해외여행 도중에 우연히 보게 된 카드 글귀에 큰 위로를 받아한국에 돌아가면 카드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그런데 팀장님은 디자인의 자 옆에도 가본 적이 없는 사람이었고포토샵은커녕 그림판도 몰랐다그래서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가 엑셀은 써본 적이 있으니엑셀로 카드 글귀를 적어 인쇄소에 가져갔다그리고 인쇄하여 포장하고바코드를 만들어 카드를 팔러 갔다그리고 이렇게 참신한 디자인은 처음이다라는 평가를 받고, 00문고에서 판매를 시작했다삽질정신의 저자로서 나는 이것을 삽질정신보다 위대한 엑셀정신이라고 명명했다. “나는 포토샵도 못하고 디자인 전공자가 아니라서 하고 싶지만 할 수 없겠네이런 궁시렁대는 변명들이 구차하게 들리는 순간이다.

  나는 공자의 논어에 나오는 지혜는 물과 같다는 말을 좋아한다겸손하게 늘 배우는 자세이기만 한다면그리고 아웃풋의 시작이었을 엑셀정신의 행동을 가지기만 한다면겁나고 후달리는 인생에서 지혜가 물처럼 흘러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정답이 없는 영역에서 일하면서 늘 마음이 가난한 기획자들에게 스티브 첸의 말을 다시 한 번 떠올리라고 애기해주고 싶다.

"회사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어." "여자를 잘못 만났어.", "이게 다 엄마 때문이야.", "내가 너를 어떻게 기다렸는데.", "내가 너를 위해 어떻게 견뎌냈는데." 라는 삶의 끝자락에서 하는 이런 고백들은 얼마나 슬픈가? 내가 언제 행복한지를 알고 남들이 뭐라고 하든지 이건 나에게 맞는 거니까라고 할 수 있는 즉 very me를 아는 사람이 승자이다. 엄마가 되라는 나 말고, 애인이 바라는 나 말고, 회사가 요구하는 나 말고, very me를 위해 의미 있게 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