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역 - 제5회 중앙장편문학상 수상작
김혜진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중앙역은 어떤 의미일까? 처음 책을 펼쳤을 때, 중앙역은 그저 삶을 포기한 자들이 모이는, 말 그대로 삶의 바닥을 사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여자가 등장하고, 남자 주인공이 다시 중앙역을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또 다른 희망의 원천인가 하는 생각을 했다.

작가는 크게 두 가지에 대해 말하려고 하는 것 같다.

첫 번째는 깊이를 알 수 없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남자 주인공은 자신의 캐리어를 가져간, 배가 불룩한 여자와 계속 미묘한 관계를 이어간다. 밤이 되면 날 사랑해? 좋아하냐고 물으면서 낮이 되면 또 다른 모습으로 자신의 일이 있다고 하고는 아픈 몸을 이끌고 남자를 떠나는 여자. 작가는 이 책을 통해 표면적으로는 서로에 대해 깊은 듯,잘 알고 이해하는 것처럼 행동하고 표현하지만 다음날이 되면 모르는 척 하는, 때로는 냉정하다 싶을 정도로 무심하게 떠나는 그런 현대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이야기 하고 있는 것 같다.  

두 번째는 희망과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중앙역에서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스스로 일을 해서 자립하려는 노력 없이, 한마디로 삶을 살아가게 할 만한 희망 없이 그저 일을 해서 돈을 벌면, 지원을 받으면 그 돈으로 술을 사 마신다. 그리고 남자도 그들을 비난하면서, 실제로는 그들과 함께 술을 마시며 그들과 다름없는 삶을 산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당신은 젊으니 떠나라고 해도 떠나지 않는다. 그러던 그가 캐리어와 돈을 잃고 여자를 만난다. 여자는 남자에게 삶의 희망을 불어넣어 주고, 남자는 여자를 치료해 준다는, 여자와 함께 산다는 희망을 다시 갖게 된다. 남자와 여자를 보면서 사람이 살아가는데 희망은 삶을 이어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원동력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작가는 마지막에 남자가 여자에게 지쳐 아픈 그녀를 모른척하고 떠나갈 때, 다시 한 번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한쪽이 자기 자신이 힘들다고, 지친다고 떠나가버리는 그런 모습들. 이런 모습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남자와 여자, 그리고 중앙역에 사는 사람들을 통해 나는 내 삶에 대해, 우리 모두의 삶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다. 나와 내 주위 사람들의 관계는 지금 어떠한가. 나에게는 어떠한 희망이 있나. 중앙역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사회의 또 다른 부분을 통해, 그 곳에서 사는 사람들을 통해,지금 나의 모습과 우리네가 살아가고 있는 모습들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