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아름다운 수학이라면 - 내 인생의 X값을 찾아줄 감동의 수학 강의 서가명강 시리즈 3
최영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운 수학이라니. 처음엔 제 눈을 의심했어요. 수학을 아름답다고 표현하다니, 수포자(수학 포기 자)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표현이니까요. 그래서 더 궁금해졌어요. 저자는 무엇 때문에 수학을 아름답다고 말하는 걸까, 수학은 단순히 공식이 문제가 아니라는 걸까? 궁금한 게 많아졌어요.


저자는 들어가는 글에서 수학에는 감동이 있다고, 수학은 아름답다고 말해요. 저자는 이를 일반 독자들에게 들려주기 3부에 걸쳐서 수학 전반의 아름다움을 알려주고 있어요. 1부는 삶에 수학이 들어오는 순간-사색으로 푸는 수학, 2부는 마음속 관념이 형태를 찾는 순간-아름다움으로 푸는 수학, 3부는 사유의 시선이 높아지는 순간-수학으로 풀어내는 세상이라는 꼭지로 수학이 가진 매력을 표현하고 있죠.


다양한 철학적 이야기들과 삶의 이야기들, 전혀 관계가 없을 듯한 문학 작품들까지 연결해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수학이 아름다울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아직은 저자처럼 수학이 정말 멋진 자연 풍경을 보는 듯한 그런 아름다움으로 다가오지는 않았지만요).


수학의 아름다움을 완전하게 느끼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수학이 우리의 삶과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지는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어요. 특히 제논의 역설에서 더욱 그랬어요. 제논의 역설은 거북이와 아킬레스의 경주를 다룬 수학 문제이기도 하고, 패러다임 선택의 문제이기도 하고, 철학 문제이기도 해요(예전에 어떤 철학 강의에서 이 문제를 다룬 내용을 본 적이 있어요).


저자는 실수와 초실수(이번에 처음으로 알았어요, 수학에 이런 개념이 있다는 걸)의 개념으로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부딪치는 문제들을 어떤 세계관으로 보는지, 서로 다른 패러다임을 혼용함으로써 오는 모순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를 설명하는데, 저자의 이야기에 깊이 공감했지요. 지나온 저의 모습들 속에서 보였던 여러 모순적인 상황들도 이해할 수 있었고요.


이처럼 수학은 수업 시간에 배우는, 시험을 위한 과목이 아니에요. 저자의 말처럼 수학은 그 속에 우리의 삶을 다른 모습으로 그려내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내재되어 있어요. 그런 아름다움을 지금까지 알지 못했다니, 너무 아쉬웠죠. 그래도 이제라도 수학이라는 세계의 한 부분을 맛볼 수 있어서 너무 기분 좋은 시간이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