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페이스 보이 - 2018년 제14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박형근 지음 / 나무옆의자 / 2018년 4월
평점 :
SF 소설은 거의 읽지 않는데 이 소설을 택한 유일한 이유는 이 소설이 제14회 세계문학상 대상 작품이기 때문이에요. 세계 문학상 수상작들을 즐겨보는데 각 작품마다 일상적인 소재를 벗어난 참신함이 읽는 즐거움을 주고 또 한편으로는 그 속에 담긴 사회, 인간에 대한 통찰이 남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그렇기에 14회 대상을 수상한 작품은 어떤 작품일지 무척 궁금해요. 이제 대상을 받은 <스페이스 보이>라는 소설 속으로 한 번 들어갈 볼까요?
이 소설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진다고 볼 수 있어요. 주인공 김신이 모든 것을 잊기 위해 우주로 나가 칼 라거펠트의 이미지를 한 외계인(궁금해서 칼 라거펠트의 사진을 찾아봤는데 선글라스를 낀 그의 모습이 딱 외계인처럼 보이네요)을 만나고 그 속에서 그가 잊었던 기억의 파편들이 이어지면서 어딘가에 묻혀있던 혹은 잊고 싶었던 과거를 하나씩 되살리는 과정이 처음 부분이에요.
두 번째 부분은 김신이 지구로 돌아온 후 겪는 일들이에요. 어떻게 그가 대중들에게 다가갔다 다시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는지의 과정을 그려진 후 그 속에서 그가 정말 잊고 싶었던 기억이 실제로는 정말 기억하고 싶은 기억이라는 사실을 깨닫지만 현실은 또 다른 상처만을 그에게 남기고 말았다는 내용이 이어져요.
읽으면서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 참 아리송했어요. 망각의 동물인 인간이기에 과거를 잊은 채 살아가는 게 좋다는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참모습은 잊어버린 채 누군가가 만들어낸(소설에서는 외계인 혹은 연예기획사라고 대변되는 인물들이 아닐까 싶네요) 혹은 다른 사람이 바라는 대로 가상의 인물로 살아가는 현대인을 비꼬고 있는지. 아니면 삶이 흘러가는 대로 순응하면 살아가는 게 가장 적절하다고 말하고 싶은지 감을 잡기 어려웠어요.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쩌면 우주에 나가 외계인을 만나서 들여다본 삶이 실제의 삶이고 그가 지구로 돌아와 살아가는 삶은 가상의 삶이 아닐까, 라는 그런 생각이요. 그러면서 그가 지구로 돌아와 사는 삶이 왠지 모르게 게임 속의 삶 같다는 생각이 얼핏 들었어요. 작가는 게임(꼭 게임이 아닐 수도 있지만요) 속에 점차 빠져들면서 현실을 잊은, 자신을 잊은 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싶었던 건 아닐까요? 물론 이런 생각은 저만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스페이스 보이, 현실과 가상 혹은 자신의 진짜 모습과 가상의 모습이 만들어낸 스페이스 사이에서 오고가는 모습의 김신은 어쩌면 오늘을 사는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해요. 자신의 참 모습을 알려주는 기억을 기억 저편에 묻어놓은 채 가상의 현실을 그리며 살아가는 그런 모습 말이죠.
작가가 소설을 쓰며 들었던 노래들을 들으면서 이 소설을 다시 읽어야겠어요. 어쩌면 그 때 진짜 작가가 말하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전기기타로 잊었던 기억의 지평을 넓혔던 김신처럼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