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라는 발명 -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
데이비드 우튼 지음, 정태훈 옮김, 홍성욱 감수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풋풋했던 학창시절, 수학은 싫어했어도 과학은 흥미로워했다. 과학수업은 공상영화나 SF소설을 보는 기분이었다. 시간이 지나 읽는 책의 색이 뚜렷해져 전형적인 문과생이 되어갔고, 이과감성 충만한 책은 베스트셀러에 있어도 병풍처럼 지나치기만 했다. 아무래도 이과의 것들 색안경을 쓴 채로 바라봤나 보다. 그래서 이 책을 도전해봤다. 틀에 박힌 채로 굳어가는 기분을 조금이나마 지우기 위한 첫시도였다.

(사진)->레고와 비교

무려 1000페이지 가량 되는 과학이라는 발명은 알고 보니 과학 역사서였다. 이 책이 과학역사서란 사실을 알고 난 뒤 나는 안도했다. 안도의 한숨도 잠시. 저자는 튀코 브라헤가 신성, 새로운 별을 관찰했던 1572년과 뉴턴이 그의 광학을 출간했던 1704년 사이에 (과학이) 발명되었다.”며 부제 역시 1572년에서 179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로 설정하였다.

(사진)->튀코 브라헤 신성

튀코 브라헤? 신성? 뉴턴? 아 뉴턴은 들어봤지. 근데 광학? 이건 또 뭐야. 과학이라는 발명의 과학 역사서란 타이틀로 안일해진 내 멘탈을 몇 가지 낯선 과학용어가 강타했고, 읽는 내내 온갖 고난과 역경에 시달렸다.

(사진)->유레카!

과학이라는 발명에선 과학혁명에는 근대 과학혁명모두 없었다는 주장을 정면 반박한다. 저자는 17세기의 과학혁명을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이란 사건과 비교하며, 신대륙 발견이 단순한 관점의 전환이 아니듯이, 과학혁명 역시 단순한 관점의 전환이 아님을 주장한다. 저자가 의도한 바 중 하나이겠지만, 읽으면서 든 생각은 단순한 말장난이었다. 혁명의 정의, 발견의 발견, 과학의 발명, 진리 등등...뜻풀이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주장이 나에겐 단순한 말장난으로 비추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말장난은 현대에 쓰이는 과학 용어가 앞서 말한 1572년부터 1704, 즉 과학혁명이 이뤄진 기간 동안 성립되었음을 의미한다.

(사진)->코페르니쿠스 지동설

과거엔 증명하지 못해도 보편적이기만 하면 진리가 되는 것이 있었고, (천동설, 지구 평면설 등) 대부분이 종교가 지향하는 가치관이 진리가 되었다. 현대에 와서 보면, 천동설이나 지구 평면설은 얼토당토 않은 소리며 증명을 통한 과학적 사실로 진리가 아님이 확정되었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돌며, 완벽한 구는 아닐지라도 지구는 둥글다. 이것이 오늘날의 진리다. ‘진리가 나오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철학이다. 과학과 철학은 사이가 좋지만은 않다.(지극히 주관적인 나의 견해)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말했던 4원소설, 2원소설 등은 당시엔 진리가 될 수 있었겠지만, 오늘날엔 증명을 통해 과학적 사실이 아님이 드러났고, 철학은 그저 철학으로만, 인문학의 한 갈래로 남겨지게 되었다. 사실상 철학을 몰락시킨 것이 종교와 과학 아닐까. 과학과 종교 역시 사이가 좋진 않지만(이 또한 지극히 주관적인 나의 견해) 내 적의 적은 친구라고 했지 않던가. (요즘 삼국지를 본 탓에..) 과학이라는 발명에서도 과학혁명이란 어쩌면 철학을 반대하는 수학자들의 봉기라고 말하기도 한다. 상당히 고개가 끄덕여지는 주장이었다. 당시의 수학자들은 주장에 대한 수학적 증명과 이론이 충분하지만, 대중이 납득하지 못했으니 얼마나 답답했을까. 그래서인지 봉기란 표현이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다시 돌아와서, 그렇다면 과학에서 진리란 무엇일까? 저자는 과학이란 진리가 아닌, 신뢰할 만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라 말한다. 유쾌한 질문에도 항상 정직한 모범답안만 제시하는 모범생의 답 같지 않은가? 얄미우면서도 통쾌한 해답이다.

 

세계사나 한국사는 접해봤어도 과학사는 처음이었다. 처음인 만큼 경계심이 가득했지만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였다. 1572년부터 1704년까지의 과학사를 다루며 과학혁명을 짚어가는 과정은 생각보다 재밌었다. 중간중간 말장난이 등장하여 정체 구간이 있긴 했지만, 두고두고 천천히 읽는다면 어렵지도, 답답하지도 않을 것이다. 물론 그 자리에 앉아서 완독할 생각은 안 하는게 정신건강에 좋을듯하다. (비전공자라면 특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