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도키오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9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문승준 옮김 / 비채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장르가 무엇이냐?"라고 묻는다면, 답은 간단하다. 아들 도키오를 읽어보라고 답하면 된다. 그 정도로 아들 도키오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집대성이다. 아들 도키오는 타임슬립이라는 SF틀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따뜻한 부정을 추리물로 녹여낸다. 이렇게만 나열하면 굉장히 난잡해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온갖 식재료가 조화롭게 섞여 그 이상의 시너지를 내는 요리 같다. 술술 너무나도 잘 읽힌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엔 브레이크가 없다. 한 번 집으면 그 자리에서 끝을 보게 된다.

 

 

아들 도키오는 희귀병에 걸린 아들 도키오가 과거로 돌아가 아버지 다쿠미를 만나 사건을 해결하며 다쿠미에게 깨달음을 주는 줄거리다. 아들이 과거로 돌아가 아버지를 만난다는 타임슬립 형식은 영화 너의 이름은을 떠올리게 한다. 타임슬립이란 주제로 차별화를 주는 작품은 읽고 보는 이로 하여금 확실한 각인을 준다. 아들 도키오는 필자에게 확실한 각인을 줬다.

 

도키오는 시간이 갈수록 근육이 쇠퇴하고 의식이 흐려져 이른 나이에 죽음에 이르게 되는 '그레고리우스 증후군'을 앓고 있다. 다쿠미는 도키오의 아버지다. 도키오가 죽음에 이르기 직전 다쿠미는 아내 레이코에게 도키오를 20년 전에 만난 적 있다고 말하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20년 전의 다쿠미는 툭하면 직장에서 잘리고 한탕 크게 해서 돈 벌 생각만 하는 망나니였다. 다쿠미는 자신이 번듯하게 살지 못하는 이유를 과거 자신을 버린 친모로부터 찾는다. 덕분에 다쿠미는 매사에 부정적이며 일이 잘못되면 자신을 버린 친모 욕부터 시작한다. 여느 때처럼 욱하는 성질로 직장 상사를 패고 실직한 다쿠미는 놀이공원에서 시간을 때운다. 그리고 거기서 과거로 돌아온 아들 도키오를 처음 만나게 된다.

 

다쿠미는 도키오를 보고 이유 모를 친근함을 느낀다. 그들은 함께 돌연 사라진 다쿠미의 여자친구 지즈루를 찾으며 온갖 사건에 휘말린다.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쿠미는 친모의 사정을 이해하게 되고 그녀에 대한 증오를 없앤다. 다쿠미가 번듯한 인간이 되는 데엔 도키오가 큰 역할을 한다. 도키오는 젊음이란 이유로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과거의 다쿠미에게 실망하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다쿠미에게 태어난 것 자체로서의 축복을 일깨워준다.

 

 

우린 태어난 것 자체에 감사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님 탓을 하며 세월과 젊음을 낭비하기엔 삶은 그럭저럭 아름답다. 삶의 3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보든, 삶의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보든, 행복한 순간은 항상 스며들어 있다. 아들 도키오는 주어진 삶에 한탄만 하는 과거의 다쿠미와 비록 죽음을 앞뒀지만, 태어난 것 자체에 감사를 느끼고, 이를 아버지 다쿠미에게 전하고자 하는 도키오, 그리고 도키오로 하여금 변하는 다쿠미를 통해 주어진 삶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보여준다. 이 중 하나를 단언하여 정답이라고 말할 순 없다. 그러나 히가시노 게이고가 아들 도키오에서 말하고자 하는 따뜻한 삶에 한에선 정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