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자와 죽은 자 스토리콜렉터 32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전에 넬레 노이하우스의 이름이 언급되며 좋은 평을 받았던 작가의 책(신데렐라 카니발)을 읽었는데, 넬레 노이하우스라는 작가를 소문으로만 듣고 잔뜩 기대를 했다가 실망을 했었다. 그래서 나는 왠지 모르게 넬레 노이하우스에 대한 기대를 버렸다. 그때 읽었던 그책과 같을거라는 생각으로 읽은 이 책은 정말 재미없었다.
읽다가 손을 놓고, 신데렐라 카니발에 대한 기억이 차츰 희미해질때 쯤 다시 이 책을 잡았는데 이 책이 이렇게 재미있는 책인지 처음 알았다.
이 책의 초반부였는지 신데렐라 카니발에서였는지 남녀 형사 파트너를 묘사하며 마치 오랜 부부같다는 뉘앙스를 풍겼었는데 그 부분이 정말 싫었다. 아마 두 책 다 그런 뉘앙스였던것 같기도 하고. 왜 남녀 파트너는 오랜 부부같다고 묘사되어야 하지? 그것도 두 책 다? 남남 부부도 여여 부부도 있고 남녀 죽마고우도 있는데! 심지어 남녀 형사 둘다 가정이 있었다. 그런 부분이 불편했다. 내가 과하게 예민한것도 있지만.
이 책도 분명 초반부 피아와 보덴슈타인의 관계가 그런식으로 설정되어 있었던것 같다. 근데 사건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니 피아와 보덴슈타인의 설정이 불편하게 느껴지지 않기 시작했다. 둘 사이를 더 이상 과하게 묘사하지 않은 탓일까 사건 전개 과정이 흥미진진해서일까, 둘 다일까?
개인적으로 추리소설의 범인을 소설 속 형사와 같이 알게되는게 재미있다. 범인의 정체가 먼저 나오는것도 물론 신이 된 것 처럼, 세계를 관조하는 것처럼 재밌지만 참여하는 재미는 없으니. 형사와 같이 추리하는 것이 은근히 재밋다. 마치 내가 피아와 보덴슈타인의 보이지 않는 파트너가 된 느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정말 재미있었다. 범인이 딱 봐도 누구네 싶다가도 여기저기서 허를 찌르니..
허를 찌른다니까 생각났는데, 대체 왜 네프같은 캐릭터를 만들어가지고.. 귀여운 악역이나 미워할 수 없는 악역은 보는 재미라도 있다. 근데 네프는 너무 대놓고 여러분 저 싫어해주세요 저는 미움받는 역할입니다 하하하 이런느낌..? 처음부터 끝까지 발암이기만 해.. 네프가 나오기만 해도 불쾌한 정도.
책은 주인공이 전개해나가는 사건을 좇는 것도 재밌지만, 자꾸 눈이 가는 캐릭터를 관찰하는 것도 재미있다. 이 책에서는 애증의 범인이 그렇다. 더이상의 범인의 이야기는 스포일러가 될 가능성이 크므로 여기까지.
퍽 흥미진진한 책이었다. 넬레 노이하우스라는 작가에 성공적으로 입덕한 느낌. 유명작 `백설공주에게 죽음을`도 기대된다.



ps. 오 놀라워라 내가 리뷰를 이렇게나 길게 쓸수있다니 여태 300자제한 거인의서재에서 글을 어떻게 썼는지 모르겠다. 북플여러분 반갑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